정부는 이날 조현배 서울경찰청 101단 부단장을 행정안전부 치안정책관으로 발령하는 등 총경 16명을 ‘경찰의 별’인 경무관으로 승진 내정했다.
경찰청 수사심의관에 이세민 충북 충주서장, 일본 도쿄 주재관에 이승철 서울청 경비1과장, 서울청 정보관리부장에 김성근 서울청 정보1과장, 부산청 차장에 김철준 부산청 정보과장 등이 각각 승진 발령됐다.
또 대구청 차장에는 허영범 경찰청 경무과장, 대전청 차장에 홍성삼 서울청 생활안전과장, 울산청 차장에 김치원 경찰청 감사담당관, 경기청 3부장에 이상식 청와대 치안비서관실 파견 총경, 충북청 차장에 윤종기 서울청 교통안전과장, 충남청 차장에 김귀찬 경찰청 정보2과장, 전북청 차장에 강이순 광주 광산서장, 경남청 차장에 이철성 경찰청 홍보담당관 등이 승진 내정됐다.
최종헌 서울청 경무과장은 외교안보연구원으로, 백승호 경찰청 수사과장은 중앙공무원교육원으로 각각 승진해 교육을 받게 되고, 박경민 경찰청 생활안전과장은 국외연수를 가게 된다.
조 청장은 이번 인사에 대해 “업무성과 평가 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면서 도덕성 등 철저한 검증을 거쳤고, 본청과 서울청의 생활안전과장을 동시에 승진시켜 민생치안 기능을 배려했다”고 설명했다.
또 “부산과 광주, 충북청에서 1명씩 3명을 경무관으로 승진시키는 등 전국 경찰에 활기를 불어넣고자 어느 때보다 지방의 우수 자원을 발탁하는데 신경을 썼다”고 덧붙였다.
문제는 지역편중 인사라는 것이다. 승진자를 출신 지역별로 보면 부산·경남(PK) 4명, 호남 4명, 대구·경북(TK) 3명, 수도권·강원 3명, 충청 2명이어서 영남권이 전체 승진자 중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
출신별로도 경찰대 독점 경향은 여전했다. 승진자는 경찰대가 7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간부 후보 4명, 특채 2명, 고시 2명, 순경 1명 순이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한 의원은 “이명박 정부는 공정사회를 설파하고 있지만, 이번 경찰 인사를 보면 ‘영남·경찰대’ 독점사회를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