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경기도와 경기도의회에 따르면 현재 경기도공무원은 53명의 고시출신과 2148명의 비고시출신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중 5급 공무원의 경우 고시출신이 전체 7%인 24명이고 비고시 출신은 93%인 330명이며 4급은 고시출신이 17명으로 20%, 비고시출신이 68명으로 80%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반해 3급 부이사관은 고시출신이 10명으로 전체 59%인 반면 비고시출신은 41%에 그쳐 비율이 역전되고 있으며 2급 이사관은 두 명 모두 고시출신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고시출신은 기획조정실에 12명, 경제투자실에 11명, 문화관광국 6명 등 주요부서에 집중 배치되어 있는가하면 대변인실과 감사관실, 녹색철도추진본부, 가족여성정책국, 복지여성정책실 등에는 한 명도 근무하고 있지 않아 부서별로 심한 편차를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수치는 행정1부지사와 행정2부지사, 기획조정실장 등 국가직 공무원과 계약직공무원, 별정직공무원은 제외된 수치로 고시출신인 행정부지사 등이 포함되면, 고위직의 이같은 격차를 더욱 더 벌어질 것으로 보여진다.
이로 인해 비고시 출신 직원들의 승진에 대한 소외감이 날로 커지고 있으며, 근무 사기가 현격하게 떨어져 업무의 효율성을 해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경기도의회 조양민의원(한나라,용인)은 이같은 실정에 대해“2006년 권모 이사관을 마지막으로 도청 내 비고시 출신 이사관이 사라지는 등 전체직원의 97.6%를 차지하고 있는 비고시 출신 직원들의 승진에 대한 소외감이 날로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또 “과거에는 9급부터 시작해 이사관까지 오르는 경우가 종종 있었으나 행정고시 출신들이 대거 임용되고 있어 앞으로는 3급 부이사관에 오르기도 힘들 것으로 보인다”며 “현장경험과 실무에 뛰어난 비고시 출신 직원들이 인사에서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균형 잡힌 인사운용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 이을죽 인사과장은 "이같은 현상은 구조적인데 근본이유가 있다"며" 고시출신들이 비교적 젊은 나이에 들어와 상위직급에 빨리 승진할 수 있는 것으로 비고시출신들을 일부러 승진에 누락시키는 일은 없다"고 밝히고, "이에 대한 뽀족한 개선책은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