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2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은행 수신은 지난달 말 현재 1060조9000억원으로 전월말보다 14조3000억원 증가했다. 이는 전월 증가액 2조1000억원보다 7배 많은 것으로 높은 수치로 지난해 5월 18조6000억원 이후 9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다.
은행 수신이 늘어난 것은 예금금리 인상과 저축은행 이탈 자금 및 지방정부 자금 유입 등으로 정기예금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정기예금은 지난달 10조2000억원 늘어나면서 증가액이 지난해 7월(12조4000억원) 이후 7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수시입출식 예금도 5조2000억원 늘어났다.
하지만 저축은행 수신은 7개 부실 저축은행 영업정지 탓에 1조9000억원 감소하면서 △지난해 12월 1000억원 △올 1월 2조3000억원에 이어 3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자산운용사 수신은 301조4000억원으로 전월(5조2000억원)보다 8조5000억원 줄며 감소규모가 확대됐다. 주식형펀드는 환매 감소에 따라 증가로 전환한 반면 머니마켓펀드(MMF)는 금리경쟁력 약화와 국고자금 유출, 채권형펀드는 금리상승 우려 등으로 각각 7조원과 3조3000억원 줄었다.
기업대출은 526조9000억원으로 전월보다 3조7000억원 늘었다. 하지만 우량 중소기업의 자금수요 둔화 등으로 중기대출이 축소됨에 따라 증가 규모는 전월(6조원)보다 감소했다.
가계대출은 431조7000억원으로 1조5000억원 늘어나면서 증가로 전환했으며 특히 주택담보대출은 설연휴 이후 아파트 입주 및 이사 수요 증가 등으로 증가액이 전월(8000억원)보다 커진 1조 8000억원을 기록했다.
한편, 한은은 광의통화(M2)의 전년동월대비 증가율(평잔 기준)이 지난달 5%대 중반을 기록하면서 시중통화량 증가세도 전월보다 하락할 것으로 추정했다.
한은이 이날 발표한 '2011년 중 1월 중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1월 M2 잔액은 작년 동기보다 6.5% 늘며 지난해 7월(9.3%)부터 8개월째 내림세를 보였다. 정부의 순세출 축소, 외국인 증권투자자금 유출, 자산운용사 유가 증권투자 및 저축은행 대출 부진 등에 따른 것이다.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한 협의통화(M1,평잔)도 작년 12월 12.9%에서 지난 1월 12.6%로 하락했다. 금융기관유동성(Lf) 증가율은 1월 6.6%로 전월 6.9%보다 하락했고 광의유동성(L.말잔) 증가율은 7.3%로 2010년 4월 이후 하락세를 지속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