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내외신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히고 "미국과 영국 등과 같이 우리도 그것(발전소 80㎞ 밖으로)을 준용한다"며 "향후 상황 전개를 봐가면서 여러 가지 추가조치를 취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어 "(우리) 관련기관이 일본과 최대한 정보교환을 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우리도 여러 가지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면서 "정부는 기본적으로 일본 정부의 발표와 노력을 믿고 그것을 바탕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진과 쓰나미, 잇따른 원전 폭발로 패닉상태를 방불케 하는 일본 열도에서 구조활동을 벌이고 있는 우리 구조대도 방사능 노출에 대한 공포 속에 연락두절된 교민들의 행방을 파악하는 데 고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도호쿠 해안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우리 교민 등 약 70명과 연락이 되지 않아 이들의 소재 파악에 주력해왔던 신속대응팀은 이날 일본 미야기현 이시노마키(石卷)시 코요초(向陽町)의 한 주택에서 교민 김영순씨(52·여·이시노마키 거주)와 김씨의 언니 점순씨(62), 영분씨(75), 매형 서원석씨(69) 등 한국인 4명을 구조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김씨 등이 머물던 대피소에 1600명가량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면서 "이 가운데 우리 교민이나 여행객이 더 있는지 확인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외교통상부는 17일에도 생수 20t과 유류 21드럼, 방호복 1500벌, 식료품 일주일치 등을 공군 C-130 수송기 3대를 통해 공수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현지에서 당장 먹을 물이 급한 데다 구조대가 지난 14일 파견 당시 가져간 의복과 침낭도 모두 젖어 교체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지진 피해자들을 위해 생수와 모포 등 4-5종류의 구호물품을 민항기에 실어 보내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구조대 추가파견 시점은 선발 구조대의 활동상황과 일본측의 요청 등을 고려해 결정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