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나 할부금융사(캐피털)들이 종종 신용대출 광고 문구로 사용하는 것이지만 사실상 이같은 저금리를 적용받는 고객들은 극소수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업계 카드사들의 현금서비스 평균금리는 23~24% 수준이고 캐피털사 신용대출 평균금리도 28% 정도이다.
연 7%의 금리를 적용받으려면 카드사나 캐피털사에서 거의 최고 등급의 회원이어야 한다는 이야기다.
실제로 지난 4월 현금서비스 사용실적이 있는 카드사 회원 중 10% 미만의 금리를 부담한 경우는 극소수였다.
신한카드가 전체 현금서비스 이용회원 중 0.92%에 불과했고 삼성카드[029780] 2.92%, 현대카드 2.94%, 하나SK카드 0.85%였다.
반면 24% 이상의 높은 금리를 부담한 회원은 삼성카드 51.89%, 하나SK카드 47.95%로 거의 절반 수준이었다.
KB국민카드는 27.47%, 롯데카드는 31.93%, 현대카드는 39.28%, 신한카드는 39.44%로 적지 않았다.
캐피털의 경우 올해 2~4월 신규 취급실적을 기준으로 신용대출 평균금리가 대부분 20%대 중후반이어서 연 7% 금리와는 거리가 멀다.
롯데캐피탈 28.5%, BS캐피탈 29.1%, IBK캐피탈 28.8%, 아주캐피탈 28.7%, 우리캐피탈 30.6%, 우리파이낸셜 25.1%, 하나캐피탈 22.8%, SC캐피탈 27.4%, 씨티캐피탈 27.4%, 현대캐피탈 26.8%, NH캐피탈 25.6% 등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여신협회에 각종 신용대출 금리를 공시하고 있어 업체 간 금리 경쟁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특히 당국이 카드사와 캐피털사를 대상으로한 고금리 지적 이후 계속 금리를 내리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