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세권 시프트 공급을 늘리기 위해 사업절차를 간소화 하고 용적률 등 각종 혜택을 제공하고 있지만 사업 대상지 주민들의 반대에 막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일부 지역은 주민 간 의견이 엇갈리면서 2년이 넘게 원점에서 맴도는 등 오히려 주민 갈등만 심화되고 있다.
15일 서울시와 해당 지역 주민들에 따르면 대흥·남성·봉천역 등 주요 역세권 시프트 사업이 주민들의 반대로 겉돌고 있다.
서울시는 오는 2018년까지 역세권 시프트 6만6000가구를 공급키로 하고 지난 2008년 대흥역세권을 시작으로 총 139곳을 역세권 시프트 개발 공급키로 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현재 40~50곳이 역세권 시프트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서울시의 장려책에도 불구하고 역세권 시프트가 겉돌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 주민들의 반대 때문이다.
주민들은 서민용 공공임대주택인 시프트가 들어서면 향후 지역발전에 저해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형성돼 있던 상권도 오히려 위축될 것이라며 역세권 시프트 건립에 반대하고 있다.
마포구 대흥역세권(6호성선)은 지난 2008년 11월 지구단위계획이 통과했지만 이후 진행이 지지부진하다. 주민들은 용적률을 상향 조정해도 사업성이 떨어진다며 역세권 시프트 건립에 반대하고 있다. 또 임대 아파트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향후 집값이 떨어질 것을 우려하는 주민들의 반대도 만만치 않다.
마포구청 관계자는 “주민들이 조합 형태로 사업을 진행해야 하는데 신청이 들어오지 않고 있다”며 진척이 없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동작구 사당동 7호선 남성역세권과 관악구 봉천동 2호선 봉천역세권, 중구 중림동 5호선 충정로 역세권도 마찬가지다.
남성역세권이나 염창역세권은 주민 간 의견이 엇갈리면서 사업이 제대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다.
남성역세권은 상가 주민들을 중심으로 ‘시프트 개발반대추진위원회’를 결성, 반대서명을 받아 구청에 제출하는 등 강력히 맞서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영세상가를 갖고 있는 사람들로 시프트가 건립되면 월세로 살아왔던 주민들의 생계가 막막해진다는 주장이다.
염창역세권을 반대하는 양천구 목2동 인근 상가 소유자들도 “새 아파트 말고 새 상가를 달라”며 반발하고 있다. 상권이 보장 안 돼 생계유지 수단이 없다는 이유다.
충정로 역세권 개발을 반대하는 중림동 주민들은 ‘중림동 개발을 걱정하는 주민 모임’을 만들고 서울시와 중구청에 역세권 시프트 사업 철회를 요구하는 등 구역지정 저지에 나서고 있다.
전문가들은 서울시가 역세권 시프트 공급을 늘리기 위해 각종 혜택을 주고 있지만 사업대상 지역 주민들의 서로 다른 이해관계를 고려하지 않고서는 제대로 사업이 이뤄지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재개발·재건축 정보제공업체 예스하우스 이승준 본부장은 “주택과 상가 소유자에 대한 명확한 구분과 이에 합당한 대책이 나오지 않는다면 역세권 시프트는 추진되기 어렵다”며 “이에 대한 현실적이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