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교수팀은 야생형 생쥐와 비타민C 결핍 유전자 변형 생쥐의 난포를 체외 성숙, 난자와 난구세포에서의 미세리보핵산(microRNA) 발현 변화를 살펴본 결과 두 생쥐 사이에서 얻어진 난포 발현 성상이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미세리보핵산은 비정보성 소규모 염기서열로 유전자 발현 조절자로서 세포의 발달과 성숙, 암성 변형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승엽 교수는 “이는 시험관 아기 시술 등 불임여성의 치료 시 비타민C의 역할을 시사하는 연구결과”라며 “향후 임상적인 적용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서울대 의대 이왕재 교수팀, 코넬대 의대 로젠왁스 교수팀과 공동으로 시행됐으며 미국 생식의학 국제학술지(Reproductive Sciences)에 게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