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5·18기념재단에 따르면 지난 8일 5·18 관련 3개 단체(구속부상자회, 부상자회, 유족회)와 대책회의를 갖고 △전국적 반대운동 조직 결성 △안장결정서류 정보공개 청구 △안장결정 취소청구 소송 △반민주 인사 국립묘지 안장금지법 청원 등을 결의했다.
이들 단체는 10일 국가보훈처를 찾아가 안장 관련 정보공개를 청구하고, 12일 전국의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는 ‘안현태 등 반민주인사 국립묘지 안장반대 국민위원회’(가칭)를 구성할 계획이다.
광주시의원들도 “국가보훈처는 안현태씨의 국립묘지 안장 결정을 당장 철회하고 이러한 졸속 결정에 대해 국민에게 공식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전의 시민사회단체도 8일 현충원 기자회견에서 안씨의 묘 이장을 반대했고, 민주당도 5일 성명서를 내고 안씨의 현충원 안장 철회를 촉구했다.
보훈처는 지난 5일 국립묘지 안장대상 심의위원회를 열어 서면심사를 통해 안씨를 현충원에 안장하기로 의결했고 직후인 6일 오전 11시 현충원 장군 2묘역에 안장됐다.
지난 6월 25일 지병으로 별세한 안씨는 육군 소장으로 예편해 국립묘지에 안장될 기본 자격은 있지만, 금고 이상의 형을 받아 국립묘지 안장 대상인지를 놓고 5·18단체 등이 크게 반발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습적으로 이뤄진 안장이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