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국립공원, 347만톤 이상 이산화탄소 저장

(아주경제 이광효 기자)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엄홍우)이 지난해 북한산국립공원의 자연자원을 조사한 결과 북한산국립공원이 347만톤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국립공원관리공단에 따르면 공단 산하 국립공원연구원이 북한산국립공원(면적 80㎢)의 탄소 저장량을 평가하기 위해 3개 지역의 낙엽활엽수 군락을 선정해 식생과 토양 내 탄소 저장량을 조사했다.

그 결과 1핵타아르(ha)당 평균 약 545톤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산국립공원은 나지와 침엽수림 지역을 제외한 86%에 해당하는 6868ha가 낙엽활엽수림으로 덮여 있으므로 총 374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있는 셈이다.

이중 250만 톤은 나무에, 나머지 125만 톤은 토양에 저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북한산국립공원의 이산화탄소 저장량은 30년생 신갈나무 5억4000 그루가 연간 흡수하는 양에 해당한다.

또한 1ha당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처리하는 데 3200만원의 사회적 비용이 드는 점을 고려하면 북한산국립공원은 전체적으로 2225억 원 가량의 비용을 절감하고 있는 셈이다.

권혁균 국립공원연구원장은 “지난해부터 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에서 탄소저장량을 평가하고 있는데 이는 국립공원의 생태적, 사회적 가치를 과학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국민에게 국립공원의 중요성과 가치를 알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