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유행 콜레라, 인도 뱅갈만서 유래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국내 연구진이 콜레라의 유래 지역과 확산 경로를 밝혀냈다.

25일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천종식 교수팀과 국제백신연구소(IVI) 김동욱 박사팀은 콜레라균이 1962년 인도 뱅갈만의 조상균(ancestor strain)에서 유래했으며, 최소한 세 차례에 걸쳐 세 개의 다른 균이 여러 대륙으로 확산됐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최고 권위의 국제 과학학술지인 ‘네이처’지 24일자(현지시간)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다음 달 본판에도 등재될 예정이다.

연구팀은 지난 40년 간 전 세계에서 수집된 콜레라 원인균 154개의 게놈 염기서열을 분석해 병원균의 확산 경로를 추적했다.

그 결과 1950년대 등장해 지금까지 유행하고 있는 콜레라는 인도 뱅갈만에서 처음 발생했다는 속설을 사실로 증명했다.

또 인도에서 다른나라로 여행하는 사람들에 의해 각각 다른 3개 균주가 동남아시아로 이동하거나 아프리카 남부를 거쳐 남미 대륙으로 퍼져 나간 것으로 확인됐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국제백신연구소 관계자는 “이번 연구로 콜레라가 동남아시아에서 시작해 전 세계로 확산된 경로를 이해할 수 있게 됐다”며 “이는 향후 콜레라에 관련된 보건 계획을 세우는데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콜레라는 심한 설사에 의한 탈수 증상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전염성 질환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매년 수백만명이 콜레라에 감염되고 10만~13만명이 사망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