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은 한은법에 따라 설립된 특수법인이기 때문에 금융공기업이 아니다.
하지만 정부 산하 국책은행과 한은이 비슷한 기관인 걸로 오해하는 국민들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14일 리서치전문기관 갤럽이 서울과 5대 광역시 성인남녀 700명을 대상으로 1대 1 개별 면접을 통해 금융공기업 상기도를 조사한 결과 한국은행이 18.7%로 상기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국민은행과 산업은행은 각각 12.1%로 뒤를 이었다. 농협은 10.3%였으며, 국책은행인 기업은행은 8.4%에 그쳤다.
민간 시중은행인 국민은행이 기업은행보다 상기도가 높은 것은 모태인 구 국민은행과 구 주택은행이 국책은행이었던 데다 '국민'이라는 상호가 공적인 이미지를 띠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기업은행이 국책은행임에도 상기도가 낮은 것은 거래소 상장 기업인데다 최근 개인 고객 마케팅에 적극적으로 나서 가계와 기업금융의 균형 성장을 꾀하고 있기 때문으로 관측된다.
한편 국토해양부 산하 토지주택공사(LH)와 지식경제부 산하 우체국은 각각 5.3%와 3.3%인 반면, 금융공기업인 신용보증기금은 0.7%에 불과했다. 이는 서울시 산하 SH공사와 같은 수준으로 아직까지 신보에 대한 일반인의 인지도가 낮은 점을 반영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