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은 앞으로 한미FTA 국회 비준 외에도 10‧26 재보궐선거 이후 국정운영 쇄신 방량과 한나라당 소장파 의원들의 사과 요구에 대한 대응 등 난제를 풀어나가야 한다.
한미FTA 비준안의 경우 유럽순방 기간인 지난 3일 국회 처리를 기대했지만 야당의 저지로 무산된 상태다.
여당 의원들 중 몸싸움을 불사해가며 비준안을 강행 처리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이들을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면 여야 대치는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
정치권은 이 대통령이 여권의 동력을 하나로 모으기 위해 어떠한 카드를 꺼내들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 대통령은 또 재보선 이후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국정운영과 정부 정책 방향에 변화를 줄 것으로 보여 향후 행보가 주목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