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측위는 지난 11일 남측위 학술본부, 언론본부, 청년학생본부 등에 “오는 11월 하순 합의되는 시기에 개성에서 서해를 ‘평화의 바다’로 만들기 위한 북남공동토론회를 진행할 것을 제안한다”고 각각 팩스를 보냈다.
또 “토론회는 북과 남의 학술, 언론, 청년학생대표들이 엇바꾸어 가면서 토론을 진행한 다음 공동문건을 발표하는 형식으로 하였으면 한다”면서 “지금 이 땅 위에는 군사적 긴장이 극도로 격화되고 있으며 특히 서해에서 벌어지는 심상치 않은 군사적 움직임은 내외의 커다란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북남공동선언의 기치를 들고 서해를 평화의 바다로 만들기 위한 목소리를 높여 북남 사이의 군사적 긴장과 대결을 해소하며, 민족의 화합과 평화, 통일기운을 고조시키는 데 적극 이바지하여야 할 것이라고 인정한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북측위의 제안은 오는 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1주년을 앞두고 서해 평화 문제를 매개로 나왔다는 점에서 이목이 쏠리고 있다.
통일부는 남측위의 방북 승인 여부에 대해 “신청이 들어와야 결정한다”며 구체적인 언급은 피했지만 “최근 유연성 조치는 비정치적, 비군사적인 사회문화 교류 차원에서 이뤄져왔다”면서 “그런 차원에서 본다면 (남측위의 방북은) 유연성의 범위는 아닌 것 같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