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위원장은 회견에서 “모든 육체적 정신적 정력을 소진했기에 표표히 떠나고자 한다”면서 “사임발표가 갑작스러워 보이기는 하지만 지금이 제가 떠나야할 때”라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연초부터 제 부하 직원이 금품비리에 연루됐다는 의혹이 언론에 크게 보도됐다”면서 “그러나 지난 20일 검찰에서 김학인 한국방송예술진흥원 이사장을 기소했지만 부하직원에 대해선 지금까지 별다른 혐의가 나오지 않았다는 언론보도를 봤다”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말이란 참 무섭다. 소문을 진실보다 더 그럴듯하게 착각하게 만든다. 특히 이 과정에서 방통위 조직 전체가 자긍심에 큰 상처를 입어 참담함을 금할 수 없다”면서 비리 연관 의혹을 부인했다.
최 위원장은 또 “저로 인해 방통위 조직 전체가 외부로부터 부당한 공격을 당하거나 스마트 혁명을 이끌고 미디어산업 경쟁력을 강화시킬 주요 정책들이 발목을 잡혀선 안된다고 생각한다”면서 “저의 퇴임이 방통위에 대한 외부 편견과 오해로부터 벗어나는 계기가 되고 새로운 도약을 위한 디딤돌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그는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라는 시대적 요청 속에 2008년 3월 26일 갓 출범한 방송통신위원회의 위원장이라는 중책을 맡아 연임을 하며 4년 남짓 방통위를 이끌었다”면서 “처음 부름을 받았을 때 국가와 사회가 저에게 부여한 마지만 소임으로 생각했고 모든 정성을 다하고자 했다”고 소회를 밝히기도 했다.
최 위원장은 “저는 재임기간 내내 방송통신산업이 앞으로 우리 후손들의 20~30년 후 먹거리가 될 것이며, 지금 그 초석을 다져야 한다는 믿음을 가지고 일했다. 그렇기에 다소의 반대가 있었지만 방송산업 개편을 시도했고 스마트 혁명의 흐름을 선도하기 위해 노력했다. 미디어랩 법안 등 마무리하지 못한 과제들이 있지만 네 분의 상임위원과 직원들을 믿고 홀가분하게 떠나려고 한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최근 불거지고 있는 정 모 전 방통위 정책보좌역의 비리와 관련 사퇴 압력을 받아왔다.
정씨는 김학인 한국방송연예진흥원 이사장의 EBS 이사 선임 과정에서 금품을 수수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용 주파수 할당, 종합유선방송사업자에 대한 채널배정 문제와 관련해 금품을 제공받았다는 의혹도 불거졌었다.
최 위원장의 사퇴 표명으로 청와대는 후임 물색에 착수할 것으로 예상된다.
후임 임명까지 최 위원장 대신 상임위원 한 명이 직무대행을 맡을 전망이다.
최 위원장은 이명박 정권 탄색의 주역 중 한 명으로 정부 출범 이후 취임해 4년간 방통위를 이끌면서 종합편성채널을 탄생시키는 등 방송통신 정책을 주도했다.
그러나 정권말 측근의 비리 의혹이 제기되면서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나게 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