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울산시는 이를 위해 수요조사와 대상지 등 기초조사, 기본계획 수립 등과 관련한 용역을 올해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가 구상하는 주거단지는 우선 타지에서 온 지역 기업체 임원과 연구소 직원, 연구기관 직원, 대학교 직원들이 "울산의 정주여건이 마땅하지 않다"고 지적함에 따라 맞춤형 친환경 주거단지를 조성하는 것이다.
시가지에 가깝고 자연환경과의 접근성이 양호한 곳을 지정해 공동주택이 아닌 단독주택 위주의 용지를 공급하고, 초ㆍ중ㆍ고등학교를 공동 운영하며, 각종 체육시설을 집적화하는 등의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시가 도로 등 기반시설을 확충한 후에 수요자에게 용지를 분양하고, 건물의 높이와 형태 등의 모델을 제시해 개발을 유도하는 것도 구상의 한 갈래다.
주거단지의 면적은 50만㎡ 정도로 예상하고 있으나 필요할 경우 확대하고, 일반 시민에게 분양기회를 주는 것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김정성 울산시 도시국장은 "기업 임원이나 연구원, 학자 등이 정주여건 미비를 이유로 가족과 함께 울산으로 이주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며 "이들을 위한 맞춤형 주거단지 조성 용역을 실시해 필요할 경우 구체화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