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日국채투자 중장기물로 선회한 이유

(아주경제 김영훈 기자) 중국이 일본 국채투자에서 단기는 팔고 중장기에 집중하는 등 투자 패턴에 변화가 생겼다고 디이차이징르바오가 9일 보도했다.

신문은 일본재무성이 8일 공개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지난해 중국은 만기가 1년 이하인 단기 일본 채권 4조188만엔어치를 매도했으며, 2010년 이후 중국이 일본 단기 채권을 대규모 순매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전했다. 2010년 당시 중국은 4304억엔 규모의 단기 채권을 순매도했었다. 이를 감안하면 지난해 팔아치운 단기 채권은 전년의 10배에 달한 셈이다.

중국은 단기 채권은 팔아 치웠지만 중장기 채권과 어음은 대폭 늘려 엔화자산을 꾸준히 불려왔다.

일본 재무성의 발표에 따르면 중국 정부를 포함한 중국 투자자들은 지난해 일본 채권과 어음을 5414억엔어치 매입했다. 2010년에 374억엔의 채권과 어음을 매각한 것과 큰 대조를 이룬다.


중국이 보유한 일본 국채는 총 10조4900억엔으로 2010년의 3조4200억엔보다 3배이상 늘었다.
중국이 이처럼 일본 국채를 늘리는 것은 외환보유 다변화를 추구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디이차이징르바오는 달러 일변도의 외환 보유고를 다변화하기 위한 금융당국의 고의적인 조치라고 분석했다.

또 일본 채권 투자 패턴이 중장기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바뀐 것은 지진 영향으로 중장기 채권 수익률이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일본의 지진 후 재건을 촉진하려는 의도도 있다면서, 일본 경제가 조속히 회복하지 못하면 중국 경제에도 영향이 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