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의 A과장은 매달 나가는 조찬 강연회가 두 개 이상이다. 새벽 6에 집에서 나와 호텔 조찬 강연회를 나가는 이유는 인맥이 우선이다. 최근에는 호텔 조찬 모임이 활성화되면서 한달에 한두개 이상 모임을 갖지 않으면 시대에 뒤떨어진다는 느낌마저 든다는게 직장인들의 이야기다.
호텔들이 이른 아침부터 조찬모임으로 북적이고 있다. 각종 강연회부터 비즈니스미팅까지 조찬모임이 흔하다. 저녁 술자리가 줄어든 대신 호텔에서 아침을 먹고 강연을 듣거나 회의를 갖는게 일상회돼 가고 있다. 그룹 회장님부터 올해 대학생까지 그 연령층도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특급호텔들은 이 같은 분위기에 맞춰 다양한 메뉴들을 선보이고 있다. 특급호텔들은 이런 얼리버드족을 위해 조찬 메뉴를 웰빙식으로 제공하며, 미팅룸을 업그레이드 하는 등 아침형 비즈니스 맨들을 위한 서비스가 강화되고 있고 있다.
![]() |
노보텔 앰배서더 강남_조찬모임 |
▲노보텔 앰배서더= 지하철 2, 7, 9호선과 더불어 최근에는 분당선 개통까지 분당에서 강남 그리고 강북까지 편리하게 잇는 교통의 요지 강남역에 위치해 있다. 이런 지리적인 이점 때문에 조찬 모임이 굉장히 활발하다. 주로 CEO대상 조찬 강의, 회사 임원 및 팀장급의 조찬 모임, 동문회의 조찬 모임, 직업분야 기술 관련 조찬 세미나 등이 주를 이루며, 바쁜 아침 시간의 특성상 가볍고 든든한 식사를 원해 ‘한식 및 일식 도시락’이 가장 인기라고 한다. 또한 꾸준히 조찬 모임 고객을 유치하기 위한 신 메뉴 개발은 분기별로 이루어지며, 가장 인기 있던 메뉴와 고객의 반응이 좋았던 메뉴 위주로 재구성된다고 연회예약실 박성미 실장은 말했다. 노보텔 앰배서더 강남에서 조찬 모임으로 인한 매출은 연간 30% 가량 꾸준히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2년 1월과 2월 조찬 역시 꾸준한 상승세를 타고 있다. 문의(02)531-6622)
▲르네상스 서울호텔= 역삼동 테헤란로에 위치한 르네상스 서울 호텔은 조찬 모임을 갖는 장소로 각광받고 있다. 정부산하단체, 협회, 학회, 대학교 등이 조찬 모임을 많이 갖는 편이고 IT관련 업종이 주를 이루고 있다. 조찬 모임의 주제는 주로 그 시기에 해당되는 사회적 이슈나 초청인사의 강연 및 교육 관련 내용으로 진행되고 있다. 식사는 양식이 가장 많이 선호되고 있지만 웰빙과 건강이 현대의 주요 관심이 되면서 일식을 선택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르네상스 서울 호텔의 조찬 모임은 2010년 대비 2011년에 약 10%정도 증가했고 2012년 새해에 들어서도 조찬관련 예약이 많은 편이다. 꾸준히 증가하는 조찬 모임을 위해 호텔도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문의(02)2222-8700
▲서울팔래스호텔 일식당 다봉= 지리적 장점(고속터미널 근처, 과천 정부청사와 강북의 중간지점 등)으로 조찬 모임이 활발하다. 일식당 총 20개의 별실의 평일 평균 예약율이 90%를 넘고, 소연회장, 중식당 룸까지 예약을 받는다. 이미 포화 상태이기 때문에 늘어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며, 월 평균 2,500여명이 조찬으로 호텔을 찾는다.
정부 및 산하단체, 공공 기관, 이익 단체, 일반 회사 등의 비즈니스 미팅이 주를 이룬다. 공부나 인맥 보다는 비즈니스 회의, 미팅을 위한 조찬이 많다. 일부 룸은 회의 시 편리하도록 스크린이나 빔프로젝터, 모니터 등이 구비되어 있다.
조찬 메뉴는 전복죽 정식(35,000원(세금및봉사료 별도))과 죽대신 밥, 생선구이, 반찬이 나오는 일조정식(30,000원(세금및봉사료 별도)) 두 가지 메뉴가 있는데, 전복죽 메뉴를 많이 선택한다. 호텔측에서는 아침이라 위에 부담이 적고, 건강을 고려해 고단백 저칼로리 메뉴 등을 고려한다. 반찬을 주기적으로 바꿔주어 자주 찾는 고객도 질리지 않도록 신경 쓴다. 문의(02)2186-6888~9
![]() |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_ 조찬모임 |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강남의 경제 중심지인 삼성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다국적 기업 본사 및 COEX와 근접해 있어 많은 비즈니스 고객들이 조찬 미팅을 위해 방문하고 있다. 양 호텔은 비즈니스 고객들이 선호하는 조찬 미팅의 기본적인 3가지 조건인 쾌적하고 다양한 크기의 연회장, 오랜 경험에서 나오는 전문적인 연회 서비스, 다양한 종류의 메뉴 제공 등을 모두 갖췄다.
특히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는 11개,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는 7개의 소규모 연회장을 가지고 있어 서울 시내 어떤 호텔보다 많고 다양한 크기의 연회장을 갖추고 있다. 또한 ASEM, G20 등 국제 회의를 진행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비즈니스 고객들이 표현하지 않은 서비스까지 미리 예측해 제공하는 전문적인 연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비즈니스 고객들에게 최고의 아침식사를 제공하기 위해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는 한식(인당 4만원부터)을 2가지 스타일로 선보이며 일식, 양식 스타일(인당 4만원, 세금 봉사료 별도)의 조찬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뷔페 스타일의 조찬은 6가지의 베이커리를 시작으로 5가지의 과일 주스, 7가지의 씨리얼, 4가지의 샐러드 뿐 아니라 고객들의 취향에 따라 30여 가지의 음식(상기 메뉴 포함)을 선택해 즐길 수 있다.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02)559-7778,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02)3430-8686
▲롯데호텔= 2012년 1월은 특히 신년하례회 관련 조찬모임이 많았다. 조찬은 아침 6시부터 10시까지 호텔 객실 투숙객이 레스토랑에서 갖는 소규모 조찬모임이 주를 이루었지만 요즘은 비즈니스를 위한 미팅에 호텔 연회장도 조찬모임의 장소로 적극 활용되면서 아침을 곁들인 가벼운 조찬 모임을 원하는 바쁜 비즈니스맨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는 추세다. 소규모 친목모임부터 학술회, 신년하례식, 동문회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성격을 지닌 조찬모임은 성공한 CEO들의 아침형 라이프스타일이 유행하기 시작한 몇 년 전부터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다.
미팅의 성격과 분위기, 고객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테이블 연출 및 룸 레이아웃 변화가 가능한연회장의 조찬 모임은 뷔페식(3타입), 한식(2타입), 양식(3타입), 일식(2타입)이 4만원부터 4만 5천원의 가격대에 선택 가능하다. 단순한 친목모임에서 벗어나 포럼 및 간담회 등 다양한 컵셉을 바탕으로 조찬모임이 진행되기에 연회장 조찬의 경우 고객들의 성향과 기호에 맞춘 메뉴 개발, 특히 아침 건강식을 접목시킨 웰빙 메뉴를 구성으로 만족도를 높이려 노력하고 있다.
▲그랜드 하얏트 서울= 서울의 중심부인 남산에 위치해 강남, 강북으로의 접근이 용이한 그랜드 하얏트 서울은 넓은 주차장과 다양한 규모의 연회 장소를 구비하고 있어 여러 목적의 조찬 행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외국 상공회의소, 국내 기업의 대규모 조찬, 협회 강연 조찬 등 다양한 목적의 조찬 행사는 최소 20명 내외부터 최대 600명 규모를 이루며, 로비층에 위치한 그랜드 하얏트 서울의 그랜드 볼룸 및 리젠시 룸 또는 2층에 위치한 5개의 중소 연회장에서 진행된다. 특히 신년에는 세계적인 경제 동향이나 흐름에 대한 강의나 경험담을 연사나 강사를 초청해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모임이 많다.
아침에 갓 구워낸 모닝 베이커리와 토스트, 각종 시리얼과 요거트의 컨티넨탈 조찬, 훈제 연어 스크램블 에그, 오믈렛 등의 메뉴를 포함한 미국식 조찬, 회, 장어 계란 말이 등 도시락 형태로 구성된 일식 조찬 등 고객의 취향을 고려해 다양한 메뉴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나 최상급 재료를 사용한 그랜드 하얏트 서울의 조찬 메뉴는 재료의 신선함을 느낄 수 있어 인기가 높다. 메뉴는 3만5000원 부터 4만원선이다(세금 및 봉사료 별도).
▲그랜드 앰배서더 서울= 해를 거듭할수록 다양한 친목도모를 위한 조찬 모임이 늘어나고 있다. 올해는 다양한 종류의 조찬 행사 문의 또는 예약이 꾸준히 늘고 있다. 인터내셔널 다이닝 레스토랑 카페 드셰프와 소규모 연회장에서 미국식, 유럽식, 또는 5가지 한조식 메뉴(죽 포함)로 조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학회, 종교 모임 위주의 조찬 행사가 소셜 네트워킹 모임, 여성 장년층 모임 등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식사를 겸한 정기적인 모임 장소로 호텔이 활용되고 있다고 전했다. 조찬 메뉴 가격은 카페 드셰프 1인 기준 1만9000원에서 2만7000원(1인 기준)이며, 소규모 연회장 2만 8000원 부터 3만 5000원까지다(부가세 별도). 문의(02)2270-3123, 3131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