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국내건설수주액을 발주부문별, 공종별로 보면 공공부문수주는 2조 3122억원으로 전년동월대비 35% 증가했다. 토목공사가 울산 복합화력발전소, 당진 9,10호기 설비공사, 영흥화력 제3연료 하역부두공사 등 대형공사 발주에 힘입어 전년동월대비 10.6% 증가했다.
건축공사는 비주거용이 청사 등 공공건물 발주 부진으로 전년동월대비 21.8% 감소했다. 반면 주거용건축은 SH공사의 내곡·세곡지구 사업, 인천도시공사의 구월지구 보금자리주택 건설 등 공공주택 발주물량 증가로 전년동월대비 75.7%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민간부문 수주액은 5조 6030억원으로 전년동월대비 37.9% 증가했다. 공종별로는 토목이 전년동월대비 8.9% 감소했지만, 건축은 공장, 연구시설, 업무용빌딩 등 비주거용건축이 전년동월대비 16.1% 증가했다.
주거용이 수도권과 부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신규분양 및 재건축·재개발 물량 증가로 전년동월대비 두배 가까이 증가해 전년동월대비 59.7% 올랐다.
협회 관계자는 “1월 국내건설수주 증가세를 주거용 건축이 주도한 것은 글로벌 경기침체 조짐 및 총선 이후의 불확실성 증가를 감안해 건설사들이 사업을 서두르고 있기 떄문”이라며 “최근의 상황을 건설경기 회복으로 판단하기에는 아직 시기상조”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