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기관은 타액을 이용한 유전체 분석을 통해 위암·대장암·폐암·유방암·뇌졸중·뇌동맥류·심장마비 등 29가지 질병에 대한 예측 정보를 제공한다.
암 치료제 부작용, 심장병·당뇨·고지혈증 약물 반응정보 등 총 12가지 약물에 대한 부작용·반응정보 등도 제공할 예정이다.
또 공동 연구를 통해 유전체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맞춤형 약물 연구 개발도 추진한다.
서유성 순천향대 서울병원장은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통해 현재가진 질병뿐 아니라 미래에 발병할 수 있는 질병을 예측 관리함으로써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가 가능하게 됐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