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현지시간) 데일리 네이션 등 현지 언론매체에 따르면 전날 의회에서 예산안을 발표한 로빈슨 기타에 재무장관은 케냐가 내년 3월 총선 후 시행할 지방자치제도를 기반으로 사회·경제적 번영을 지속하기 위한 틀 안에서 예산안이 마련됐다고 밝혔다.
기타에 장관은 이번 예산안이 국민총생산(GDP)의 6.5%인 2천500억 실링(한화 3조 4천억 원)의 재정 적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이를 국내차입과 국외 자금도입 등을 통해 메워 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정부가 이미 국민에 대해 최대한의 세금을 거두어 들이고 있기 때문에 추가 세수 확보를 위해서는 부동산 임대업자에 대한 임대 수익 추적 등 기존 탈루자에 대한 세무 행정 조치를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이번 예산안에서는 지난해 예산안 발표 시 저소득층을 보호하고자 한시적으로 폐지한 등유 소비세, 주식인 옥수수와 밀에 대한 수입관세 면제 정책을 유지하기로 해 눈길을 끌었다.
부문별로는 도로, 철도, 항만, 에너지 등 인프라 개발 부문이 가장 많아 전년보다 21.1% 증가한 2천681억 실링(한화 3조 6,700억 원)을 배정받았고 초등 무상교육 등 교육부문에는 이보다 조금 적은 2천331억 실링(한화 3조 2천억), 47개 지방자치단체 설립 비용으로 1천480억 실링(한화 2조 원), 경찰 신규 채용 등 국내 치안 예산으로 659억 실링(한화 9천억 원) 등이 각각 배정됐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