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가격인하수준을 비롯한 사회공헌기금 지원방안 등 여러가지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0일 택시업계는 LPG 가격안정화 등을 요구하며 대규모 파업 농성을 벌였다. LPG업계로서는 당장 내달 가격을 결정하는데 고민이 커질 수밖에 없다. 그도 그럴 것이 지난 18일에는 국토해양부가 LPG수입사 등을 만나 가격안정화를 요청하는 등 압박도 더해지고 있다.
그나마 내달 국내가격에 반영되는 6월 국제가격이 전달대비 프로판과 부탄 각 t당 130달러씩이나 내려 부담을 덜게 됐다. 다만, 가격을 내리되 얼마나 내려야 할지가 LPG업계로서는 고민이다.
LPG업체 관계자는 “이달 공급가격엔 가격 손실분을 조금밖에 반영 못했다”며 “손실이 워낙 커 내달 가격에도 분산반영이 필요하지만 택시업계의 동향을 살피지 않을 수 없는 입장”이라고 했다.
그 가운데 한편으론 택시업계를 지원하기 위한 별도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올초 LPG업계가 조성한 사회공헌기금 100억원 중 일부를 택시업계를 위해 쓰는 등 여러 가지 방안을 두고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는 이미 그 중 20억원을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해 바우처(교환권) 지원사업 용도로 사용한 바 있다.
한편 택시업계가 요구하는 사항은 가격안정화, 택시요금인상, 감차보상, 대중교통인정, 택시연료다원화 등이다.
하지만 가격안정화를 위한 ‘공급가격 상한제’나 디젤 및 CNG택시에 대한 보조금 지원 등의 방안은 시장형평성 때문에 풀리지 않는 논쟁을 일으켜 실현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다만, 택시요금인상과 관련해서는 정부에서도 물가인상을 고려해 하반기엔 택시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선 택시업계로서도 실현가능성이 부족한 요구사항은 부차적이고, 택시요금인상과 감차보상이 파업의 주된 목적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