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원내대표는 이날 MBC라디오에 출연, “민주당이 요구하는 조건을 저희로서는 단시일 내에 받아들이기가 어렵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새누리당이 주장하는 원 포인트 개원은) 국회의장과 부의장만이라도 선출해서 최소한 국회의 얼굴 노릇은 하도록 하자는 것이고, (민주당 주장인) ‘원 샷 개원’은 상임위원장 배분이나 상임위 구성까지 다 마치자는 것 같다”면서 “타결하기가 어렵다고 보여지는 것들”이라고 설명했다.
또 “(개원 문제에) 대법관 인준이 관계됐다”면서 “아무리 계산해도 어제 의장단이 선출이 됐어야 (인사청문 정상 진행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의 요구사항 가운데 하나인 민간인사찰 국정조사 문제와 관련해 “수사가 덜 됐다고 저희는 판단한다”면서 “그러면 수사가 완결되도록 하는 게 급하고, 그래서 특검을 해야 되겠다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이 원내대표는 일부 언론에 ‘여야가 국정조사에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취지로 보도가 된 것에 대해서는 “잘못된 보도”라고 일축했다.
그는 MBC 등 언론사 파업에 대한 청문회 개최 문제와 관련해서도 “일부 방송사의 노사분규에 대해 국회에서 청문회나 국조를 하자는 요구가 있었는데 저는 안 된다고 본다”면서 “언론사든 무엇이든 분규는 자체 해결해야지 외부에서 자꾸 입김을 넣으면 결과에 책임질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언론사는 공정방송을 해야 하는데 정치가 끼어들기 시작하면 공정방송이 되겠느냐”면서 “(공정방송에) 필요한 제도개선이 있다면 얼마든지 할 수가 있지만, 공정방송을 하려면 정치권 입김이 최대한 배제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