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의원은 △4년중임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 △행정구조 개편ㆍ국회의원 정수 200명 내외로 축소 △부정부패 척결ㆍ청렴사회 정착 △남북대표부 설치ㆍ동북아평화번영공동체 구축 △양극화 및 청년실업 문제 해소 등 '국가대혁신 5대 방안' 등을 공약으로 내걸고 있다.
그는 개헌과 관련, “5년단임 대통령 중심제 하의 역대 모든 정권은 부패로 무너졌다. 모든 권력이 집중된 제왕적 대통령제하에서는 누가 대통령이 되든 권력독점에 따른 폐해를 피해갈 수 없다”며 "대통령은 국가수반으로서 외교, 국방 등의 권한을 갖고 국내 정치는 내각에 맡겨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대통령과 국회의원의 선거주기를 일치 시킬 것을 강조하며 "(대통령이 되면) 취임후 6개월 안에 개헌을 마무리하고, 저는 임기를 모두 채우지 않고 3년으로 단축하는 용단을 내리겠다"고 밝혀 눈길을 끌었다.
행정ㆍ정치구조 개편과에 대해서는 3단계의 행정계층구조를 '중앙정부-자치시' 2단계로 개편하고 전국을 100만명 단위의 50개 내외 자치시로 재편하며 국회의원은 50개 자치시 별로 4명 내외가 나오도록 선거제도를 바꿀 것이라고 다짐했다.
또 국민권익위원장이었던 경험을 살려 "대통령 친인척과 측근, 고위공직자 부패문제를 전담하는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를 신설하고 부패비리 사범은 사면복권을 금지하겠다"면서 부정부패 척결 방안을 내놓았다.
이 의원은 양극화 해소 및 일자리 대책에 대해선 "대ㆍ중소기업의 동반성장 방안을 모색하고 국가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일자리 창출'에 두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