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9일 상암동에서 열린 3D Media Lab(3D 기술&장비 지원센터) 개소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 버튼을 누르고 있다. 왼쪽부터 하호성 SK텔레콤 공공사업본부장, 백운석 서울시청 문화산업과장, 윤종용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회장, 김재홍 지식경제부 성장동력실장, 전상헌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부회장, 하회진 레드로버 대표. |
SK텔레콤은 "3D 미디어 장비와 LTE 네트워크를 연동해 세계 최초로 LTE 망을 통해 3D 방송 영상을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3D 콘텐츠는 좌우 눈으로 보는 화면을 별도로 각각 송출하기 때문에 용량이 일반 콘텐츠 대비 2배 이상 커 3G 망에서는 전송이 불가능했지만 LTE는 속도나 끊김 현상(Latency)이 크게 개선돼 가능해졌다.
SK텔레콤은 망에 큰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고화질의 영상을 보내기 위한 효율적인 동영상 압축 기술 등을 적용해 시연했다.
'3D 미디어 랩'은 3D 영상을 직접 제작하거나 장비 임대, 3D 콘텐츠 촬영과 편집, 녹음, 상영 등이 가능한 3D 영상제작시설, 3D장비의 품질 비교 등을 위한 테스트 환경, 3D 전문기업 육성 및 산학 공동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 등을 구축하고 운영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이 SBS아트텍과 컨소시엄을 이뤄 수주한 3D Media Lab은 지식경제부 산하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와 3D융합산업협회(3DFIA)가 국내 3D 산업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사업이다.
하호성 SK텔레콤 공공사업본부장은 “SK텔레콤의 LTE 2.0 운영 역량으로 이종산업간 융합이 가능해졌다”며 “이번 LTE망을 통한 방송영상신호 송출 시연이 이종산업간 융합이 본격화되는 첫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