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세계적 경기침체로 인해 장기 불황에 허덕이고 있는 산업계다.
월드컵과 함께 전 국민의 눈과 귀가 집중되는 가장 큰 스포츠 축제인 올림픽의 기회를 놓지지 않기 위한 각 업체들의 마케팅 전쟁은 올림픽 개막을 하루 앞둔 26일 절정을 향해 치닫고 있다.
그러나 올림픽을 통한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 하는 일이 간단하지 만은 않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지정한 공식후원업체가 아닌 기업들은 올림픽이라는 용어나 엠블렘 등을 마케팅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 “ㅇㅇㅇ라고 쓰고 올림픽이라 읽는다” .. ‘엠부시’ 마케팅 전쟁
이른바 ‘엠부시(ambush)’ 마케팅이 빛을 발하고 있는 이유다.
공식후원사가 아니지만 IOC의 단속을 피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올림픽과 연계해 사람들의 이목을 끌어 모은다.
공식후원업체들로부터 수천 억 원에 달하는 스폰서 비용을 받은 IOC는 이들이 낸 비용을 아까워하지 않도록 비공식후원업체가 올림픽을 드러내 놓고 마케팅에 활용할 수 없도록 대대적인 단속을 벌인다.
지난 1985년부터 스폰서 프로그램을 본격 도입한 IOC는 각 분야별로 한 회사 씩 지정해 공식 올림픽 파트너의 명칭을 부여한 뒤, 올림픽을 마케팅에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한다.
이번 2012 런던올림픽의 분야별 공식 파트너는 무선통신 부문에 삼성전자, 음료에 코카콜라, TV 및 오디오 부문에 파나소닉, 스포츠용품에 아디다스 등 총 11개 회사다.
따라서 이 공식 파트너에 참가하지 못한 업체들은 올림픽을 활용한 광고를 하면서도 올림픽이라는 단어나 오륜 엠블럼을 사용하지 않은 채 최대한 올림픽의 분위기가 날 수 있도록 다양한 장치를 넣는다.
모바일 부문에서만 공식 파트너인 삼성전자는 TV제품 광고에 올림픽이라는 단어는 뺀 채, ‘런던의 기적’ ‘런던의 감동’ 등의 문구로 올림픽 마케팅을 벌이고 있다.
LG전자의 경우 최근 자사의 TV제품 광고 안에 ‘올림픽’이라는 문구를 넣었다가 대한올림픽위원회(KOC)에 문제를 제기한 IOC의 제재를 받고 광고 문구를 뒤늦게 교체하기도 했다.
IOC는 각 기업들이 ‘올림픽’이라는 단어를 비롯해 ‘게임’ ‘2012’ ‘하계’ 등의 문구가 들어간 마케팅에 대해 각 국가에 올림픽위원회를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재제를 가한다.
지난 2010년 벤쿠버 동계 올림픽 당시 이러한 마케팅 시정 요구 사례만 40건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IOC는 기존에 다양한 광고모델로 활동해 왔던 스포츠 스타들이 올림픽에 참가하는 기간에는 공식 후원업체가 아닌 곳의 홍보활동을 하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삼성 노트북 광고를 해 왔던 수영선수 박태환이 올림픽에 참가하는 동안에는 노트북 광고를 할 수 없고, 나이키 모델로 활동하고 있는 영국의 축구선수 웨인 루니가 나이키의 홍보캠페인을 할 수 없도록 한 것 등이 대표적이다.
컴퓨터 부문 올림픽 공식 후원사는 에이서 이고, 스포츠 용품 부문 공식 후원사는 아디다스가 맡고 있다.
◆ 공식 후원업체도 효과 극대화 위해 총력
IOC위원회에 스폰서 비용을 대고 올림픽 공식 파트너로 지정된 기업들도 투자금액이 아깝지 않도록 올림픽 마케팅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총력전을 펼친다.
업계와 외신들에 따르면 이번 2012 런던올림픽에서 후원사들이 공식 파트너가 되기 위해 IOC에 쓴 비용은 144억 달러(약16조원)에 달한다.
그만큼 투자비용을 매출효과로 이어가기 위한 각 업체들의 마케팅 전쟁은 올림픽 참가 선수들의 매달 경쟁을 무색케 한다.
모바일 부문 공식 파트너인 삼성전자는 최근 출시한 갤럭시S3를 전면에 내세워 올림픽 마케팅 효과를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런던 현지 스트필드 셰퍼즈 부시(Westfield Shepherd‘s Bush)에 프리미엄 팝업 체험 공간인 삼성 모바일 핀을 마련하고 갤럭시S3 구입고객을 대상으로 올림픽 스페셜 에디션 플립커버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 1928년을 시작으로 가장 오래된 올림픽 공식 후원사인 코카콜라는 올림픽 한정판 500ml 캔 제품을 선보였으며, 10대들을 겨냥한 ‘무브 투 더 비트(Move to the Beat™)’ 캠페인을 벌이는 등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