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지난 2년간(2010~2011년) 6세 미만 소아의 의료이용 자료를 분석한 결과 환자수는 2010년 268만4000명에서 지난해 272만1000명으로 약 1.4%가 증가했다고 19일 밝혔다.
성별로는 남아가 2010년 138만6000명에서 2011년 140만2000명으로 약 1.2%가 증가했으며 여아는 같은기간 129만8000명에서 131만8000명으로 1.5%가 증가했다.
진료비는 2010년 2조 315억원에서 2011년 2조 4239억원(전체 진료비의 5.24% 수준)으로 약 2.2%가 증가했으며 1인당 진료비는 같은기간 88만4000원에서 지난해 89만1000원으로 0.8% 상승했다.
입원 환자는 2010년 79만명에서 2011년 81만6000명으로 3.4%, 외래 환자는 같은기간 264만4000명에서 268만명으로 연평균 1.4%가 증가했다.
입원 진료비는 6483억원에서 6709억원으로 연평균 3.5% 증가, 외래 진료비는 1조 661억원에서 1조 837억원으로 연평균 1.6% 올랐다.
약국의 약품비 및 조제비는 6571억원에서 6751억원으로 연평균 2.7%가 증가했다.
지난해 1인당 진료비는 입원이 822만원, 외래가 404만원, 약국이 256만원으로 분석됐다.
질병현황(대분류별)을 분석한 결과, 전체 소아의 65.3%가 ‘호흡계통의 질병’으로 의료이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6%인 56만1000명은 ‘급성기관지염(J20)’으로 의료이용을 하는 것으로 분석됐으며, ‘급성 상기도 감염 (5.9%)’‘급성 코인두염 (5.2%)’순이었다.
장광천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어린나이에는 가급적 집단생활을 피하고 어쩔 수 없는 경우에는 개인 위생관리, 특히 손씻기 등을 철저히 하고 손가락을 빨거나 손톱을 물어뜯거나 코를 파는 등의 행동은 하지 않도록 교육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