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국방부가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민주통합당 진성준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산부인과 군의관은 국군수도병원, 국군서울지구병원, 국군대전병원, 항공우주의료원에 1명씩 근무하고 있다.
전체 군의관 2470명 중 산부인과 군의관 비율은 0.16%에 불과하다.
군 당국은 2008년부터 장기군의관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군 의료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계약직 의사 확보에 나서 현재 32명의 민간계약직 의사를 채용하고 있으나 이들 중 산부인과는 1명도 없다.
국방부 관계자는 “군의관 확보에 있어 산부인과는 정형외과 등에 비해 우선순위가 아니다”며 “여군은 민간병원의 산부인과 외래진료를 이용할 수 있고 군 간부들이 의무적으로 가입하는 맞춤형 복지보험 등을 통해 진료비도 지원도 받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전방 격오지 부대에 근무하는 여군은 민간 산부인과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쉽지 않다.
군 관계자는 “강원도 양구에 근무하는 여군이 산부인과에 가려면 춘천까지 이동해야 한다”며 “여군이 늘어나는 추세를 감안해 산부인과 군의관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여성 우수인력 확보를 위해 올해 6월 말 현재 3.9%인 여군 간부비율을 장교는 2015년까지 7%로, 부사관은 2017년까지 5%로 각각 늘릴 계획이다.
진 의원은 “산부인과 군의관 문제는 여군의 증가 속도에 비해 군대의 의식과 문화가 따라주지 못하는 단적인 사례”라고 지적했다.
이에 군의 한 관계자는 “여군이 많이 복무하는 군 단위 지역의 보건소에 산부인과 공중보건의를 두는 방안을 관계 부처와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