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의관 2500여명 중 산부인과 군의관 고작 4명

  • 軍 민간계약직 군의관 채용도 기피

아주경제 김현철 기자=군 복무 여성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산부인과 군의관은 군병원 전체를 통틀어 4명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2일 국방부가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민주통합당 진성준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산부인과 군의관은 국군수도병원, 국군서울지구병원, 국군대전병원, 항공우주의료원에 1명씩 근무하고 있다.

전체 군의관 2470명 중 산부인과 군의관 비율은 0.16%에 불과하다.

군 당국은 2008년부터 장기군의관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군 의료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계약직 의사 확보에 나서 현재 32명의 민간계약직 의사를 채용하고 있으나 이들 중 산부인과는 1명도 없다.

국방부 관계자는 “군의관 확보에 있어 산부인과는 정형외과 등에 비해 우선순위가 아니다”며 “여군은 민간병원의 산부인과 외래진료를 이용할 수 있고 군 간부들이 의무적으로 가입하는 맞춤형 복지보험 등을 통해 진료비도 지원도 받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전방 격오지 부대에 근무하는 여군은 민간 산부인과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쉽지 않다.

군 관계자는 “강원도 양구에 근무하는 여군이 산부인과에 가려면 춘천까지 이동해야 한다”며 “여군이 늘어나는 추세를 감안해 산부인과 군의관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여성 우수인력 확보를 위해 올해 6월 말 현재 3.9%인 여군 간부비율을 장교는 2015년까지 7%로, 부사관은 2017년까지 5%로 각각 늘릴 계획이다.

진 의원은 “산부인과 군의관 문제는 여군의 증가 속도에 비해 군대의 의식과 문화가 따라주지 못하는 단적인 사례”라고 지적했다.

이에 군의 한 관계자는 “여군이 많이 복무하는 군 단위 지역의 보건소에 산부인과 공중보건의를 두는 방안을 관계 부처와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