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 국내에서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반일 시위에 대해 훙 대변인은 "중일 관계 악화로 인한 영향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며 "일본이 잘못을 뉘우치고 개선해 더는 잘못된 길을 가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17일 밤 베이징(北京)에 도착한 리언 파네타 미국 국방장관이 중일간 댜오위다오 갈등의 '조정자'역할을 하고 싶다는 발언에 대해 훙 대변인은 "중국은 미국이 댜오위다오 문제에서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길 바란다"며 "'미일안보조약'은 냉전시대의 산물로 이를 댜오위다오 문제에 적용하여 중국을 포함한 제3자의 이익을 침해하는 것을 반대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겐바 고이치로(玄葉光一郞) 일본 외상이 17일 중국에 앞서 일본을 방문한 파네타 장관과 중일간 영유권 분쟁을 빚고 있는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미일안보조약'의 적용 대상이라고 합의했다고 밝힌데 대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한편 미일안보조약 5조는 일본의 시정권이 미치는 지역이 무력 공격을 당할 시 미국이 준수해야 할 일본 방위 의무와 관련해 미일 양국이 "평화와 안전을 위태롭게 한다"고 인식했을 경우, 각각 헌법에 따라 행동한다는 등의 발동조건을 규정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