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는 17일 ‘네이버 실시간급상승검색어 등에 대한 보고서’를 통해 NHN의 실시간급상승검색어의 의도적 조작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KISO는 외부 정책위원으로 구성된 검증위원회가 네이버의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자동완성검색어·연관검색어에 대해 검증작업을 한 결과 검색어 노출 제어를 통해 조작한 흔적을 찾을 수 없었다고 밝혔다.
네이버는 지난해 8월 ‘안철수 룸살롱’, ‘박근혜 콘돔’ 등의 검색어에 대해 조작 시비에 휘말린 바 있다.
KISO는 보고서에서 “서비스 세부운영정책의 원칙과 절차에 따라 비교적 큰 문제없이 운영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판단이 애매한 영역에 대해서는 KISO를 통한 심의를 거쳐 처리해 공정성을 높이려는 노력도 나타났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부 개념의 불명확성 △용어의 통일성 부족 △분류체계상 문제점 △일부 과잉제어 및 자의적 판단 우려 △사례 제시로 검증기준을 대신하려고 한 점 △운영정책의 수시 보완작업 및 현행화 작업이 이뤄지지 않은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KISO는 운영에 있어 외부의 의혹을 불식시키기 위해 노출제외 검색어 선별과 판단절차의 객관성과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를 위해 제외된 검색어 목록과 사유를 시기별로 공개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지만, 음란성 등 불법적이거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정보일 가능성이 높아 복수의 책임자급에 의한 판단절차를 도입하고 절차를 강화할 것을 제시했다.
이에 NHN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검색어 서비스 운영의 원칙과 절차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했지만 KISO의 권고를 존중해 세부 내용 검토 후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KISO의 검색어 서비스 투명성 제고를 위한 정례적 검증을 위한 절차에 대해 협의를 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NHN 관계자는 “이번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서비스 투명성 강화를 위해 노력을 기울일 것이며 그 결과를 빠른 시일 내에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