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우리은행 정부와 기싸움 지속… 캠코에 "쌍용건설 주식 못 받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3-05 09:2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조준영 기자=자산관리공사(캠코)가 부실채권정리기금 운용시한 종료로 이 기금 출자자인 정부와 23개 출연기관을 상대로 잔여자산 전량 반환에 나섰으나 배분 비율에 불만을 나타내 온 우리은행을 중심으로 반발하는 바람에 결국 무산돼 논란이 쉽사리 잦아들지 않을 전망이다.

캠코는 이미 이 기금으로 사들였던 부실채권(출자전환)을 대부분 회수, 출연금 대비 120% 이상을 되찾았지만 정부와 일부 출연기관이 마지막 남은 자산인 대우조선해양ㆍ쌍용건설 주식 반환비율에 이견을 드러내면서 갈등을 빚어 왔다.

정부 측이 시가총액만 6조원에 맞먹는 대우조선해양 주식을 애초 출자 비율보다 더 가져가는 대신 상장폐지 위기에 몰린 쌍용건설 지분을 모두 떠넘기려 한다는 것이 이 건설업체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을 비롯한 일부 출연기관 쪽 주장으로 알려졌다.

4일 금융위원회ㆍ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캠코는 부실채권정리기금 운용을 마친 전월 22일(지분공시 2월 28일) 잔여자산인 대우조선해양ㆍ쌍용건설 지분을 반환하면서 애초 1997년 외환위기 당시 이 기금 출자 비율(정부 86%ㆍ나머지 출연기관 14%)을 따르지 않았다.

정부 측(예금보험공사 포함)은 캠코로부터 대우조선해양 지분 3656만주(19.34%) 가운데 출자 비율보다 8%포인트 가까이 많은 약 94%(3429만주)를 받아갔다.

쌍용건설은 반환 비율이 더 떨어진다. 캠코가 보유해 온 쌍용건설 주식 1153만주(38.75%) 가운데 40%에도 못 미치는 452만주만 돌려줬을 뿐 아니라 이 역시 80% 이상이 정부에 속한 예보 자회사 케이알앤씨(KRNC)로 넘어갔다.

캠코가 기금 운용시한을 넘겨가며 아직 보유하고 있는 주식은 대우조선해양 230만주, 쌍용건설 700만주 가량이다.

정부 측이 대우조선해양이나 쌍용건설 지분을 애초 부실채권정리기금 출자 비율과 다르게 가져간 반면 나머지 출연기관은 대부분 받지 않으면서 캠코도 잔여자산을 100% 반환하는 데 실패하게 됐다.

이 기금 출자 비율을 보면 정부 쪽 제외시 우리은행이나 신한은행, 하나은행을 비롯한 시중은행 및 대우조선해양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캠코 관계자는 "출연기관 상당수가 주식을 받아가지 않았다"며 "정부가 아닌 캠코 차원에서 바뀐 비율대로 주식을 가져갈 것을 요구하기는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증권업계는 우리은행을 중심으로 한 쌍용건설 채권은행이 캠코 측 잔여자산 반환 비율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이 건설업체뿐 아니라 대우조선해양 매각 일정에도 차질을 줄 것으로 우려했다.

우리은행 기업개선부 관계자는 "캠코에 (출자 비율대로 주식을 돌려줄 것을) 번번이 요청했지만 받아들이지 않았다"며 "앞으로도 채권단에 어떤 것이 득인지 실인지 따져 의사를 결정한다는 데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금융위 산하 공적자금관리위원회 관계자는 "MB 정부 당시 산은이나 채권은행 측으로부터 협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매각 기회를 놓친 감도 있다"며 "새 정부가 들어선 만큼 이를 다시 추진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