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수장으로 내정된 지 16일 만인 4일 전격 사퇴한 김 전 내정자는 다음날인 이날 오전 곧바로 미국 워싱턴행 비행기를 타고 출국했다.
청와대와 여권 일각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의 핵심과제인 창조경제를 실현하는 데 김 전 내정자만큼 적임자가 없기 때문에 사퇴를 적극적으로 만류해야 한다는 얘기도 나왔지만 사실상 그의 복귀 가능성은 사라진 셈이다.
청와대도 김 전 내정자가 사퇴 의사를 번복할 뜻이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한 핵심관계자는 이날 기자와 만나 “그만한 사람을 어디서 찾겠나. 심혈을 기울여서 모셔온 분인데 박 대통령도 많이 아쉽고 안타까워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조국을 위해 헌신하겠다는 해외 인재들을 중용하려면 이중국적 등 여러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 이를 위해 정치권이 앞장 서야 하는데 오히려 가로막고 있다”며 불만을 나타냈다.
우선 청와대로서는 ‘박근혜정부’의 핵심부처인 미래부가 ‘창조경제를 통한 미래 일자리 및 먹거리 창출’이라는 최우선 과제이자 목표를 실현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인선을 마냥 늦출 수도 없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벌써부터 언론 하마평에 인수위 시절부터 거론됐던 미래부 장관 후보들이 오르내리고 있다.
윤종용 국가지식재산위원장, 황창규 지식경제부 국가연구개발 전략기획단장, 진대제 전 정통통신부장관, 이석채 KT 회장,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국가미래연구원 회원인 이병기 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 김도연 국가과학기술위원장, 문길주 한국과학기술연구원장 등이 후보군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후임 인선에 대해 “정부조직법 개편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는 것이 더 우선이다. 미래부 장관 후임자 인선까지 생각할 겨를이 있겠느냐”고 답답함을 토로했다.
이 관계자는 “우선 지켜봐야 한다. 김 내정자에 걸맞은 인물을 찾기가 어려울 것으로 보여 아무래도 시간이 걸릴 것 같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