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공식 일정 없이 참모들로부터 분야별 주요 현안을 보고받으며 수시로 여야 간 정부조직법 개정 협상 상황을 점검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이 공식일정을 잡지 않은 것은 지난달 28일에 이어 취임 후 벌써 두 번째다. 매주 화요일 열리는 국무회의도 지난주에 이어 열지 않았다.
박 대통령은 국정 파행이 장기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이르면 이번 주 내 국회 인사 청문 절차를 마친 장관 내정자들에게 우선 임명장을 수여할 것으로 보인다.
국회는 4일 소관 상임위별로 유정복 안전행정부, 유진룡 문화체육관광부, 윤병세 외교부, 황교안 법무부 장관 내정자에 대한 인사 청문 경과 보고서를 채택했고, 5일에는 서남수 교육부 장관 내정자에 대한 인사 청문 경과 보고서가 채택됐다. 방하남 고용노동부,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 내정자에 대한 보고서 채택 여부를 아직 결정되지 못했다.
여권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이 권력기관장 및 정부 주요 인선안을 발표하며 정치권을 압박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정부조직법 개정안 여야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지자 청와대는 주말인 지난 2일 오전 국정원장, 금융위원장 인선안을 전격적으로 발표한 바 있다.
우선 검찰총장 인선의 경우 총장추천위원회가 추천한 김진태 대검 차장, 채동욱 서울고검장, 소병철 대구고검장 중 발탁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여권 일각에서는 이 추천은 이전 정부에서 이뤄진 만큼 새로운 인물로 다시 추천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법무장관이 총장을 제청하도록 돼 있어 법무장관 정식 임명 후 총장 인선이 이뤄져야 하는 만큼 발표 대상에서 제외될 것으로 보인다.
‘경제검찰’ 공정거래위원장은 박 대통령이 대선공약의 내세운 경제민주화와 핵심정책인 중소기업의 ‘손톱 밑 가시’를 해결해나갈 중대한 임무를 맡는다. 이 때문에 박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잘 이해하는 측근 인사가 기용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새누리당 이혜훈 최고위원과 유승민 의원 등이 거론되고 있다.
국세청장도 박근혜정부의 복지재원확대를 위해 지하경제양성화와 세원 확대가 시급한 만큼 인선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조현관 서울국세청장, 박윤준 국세청 차장, 김덕중 중부지방국세청장, 김은호 부산국세청장 등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다.
김기용 경찰청장과 양건 감사원장은 각각 잔여 임기가 1~2년 정도 남아있는 상황이어서 교체보다는 유임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