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인권이사회는 현지시간으로 14일 일본의 국가별 정례인권검토 결과 보고서에 관한 논의를 진행한 뒤 해당 보고서를 채택했다.
이날 논의에서 최석영 주 제네바대표부 대사는 "일본은 (위안부 강제동원에 따른) 법적 책임을 받아들이고 적절한 조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의 류전민 대사도 "일본은 위안부 문제를 사과하고 배상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위안부 강제동원으로 피해를 입었던 필리핀도 힘을 실었다.
하지만 일본은 이미 피해자들에게 배상 책임을 다했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일본의 오카다 다카시 주제네바 차석대사는 일본이 민간 모금을 기반으로 1995년 발족한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 국민기금' 등을 언급했다.
그는 "일본 정부는 그처럼 끝을 가늠할 수 없는 고통을 당한 이들에게 비통한 마음을 갖고 있다"면서도 "이는 정치적 이슈가 돼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한국은 일본이 위안부 관련 문제제기에 진심 어린 대응을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