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이름표를 받은 각 부처는 줄인말 등 부처 명칭을 놓고 여전히 옥신각신하는 모양새라 당분간 진통이 예상된다.
먼저 지난달 인수위 조직개편안 발표 당시 논란이 됐던 행정안전부가 대표적인 사례다. '안전행정부'로 개칭되는 행안부는 '안행부'로 약칭이 변경됐다는 점에서 어감상 좋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자칫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키워드였던 '국민행복시대'에 반하는 '안 행복해'로 들릴수 있기 때문이다.
'공룡부처'로 떠오른 미래창조과학부도 이름을 둘러싼 논란은 마찬가지다. '미래부·미창부·미창과부' 등 언론 등에서 쓰는 약칭이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정식 명칭 자체가 길다보니 어쩔 수가 없고, '미래'와 '창조' 같은 생소한 단어가 들어가 빚어진 경우다.
지식경제부의 경우 외교통상부의 통상 기능을 넘겨받으면서 이름이 '산업통상자원부'로 개칭됐다. 특히 새롭게 추가된 통상업무를 드러내기 위해서 '산통부'나 '통자부'로 줄여 불릴 수 있다는 점에서 새 이름이 마뜩잖다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해양수산부' 부활로 일부 기능을 이관하는 농림수산식품부도 '농림축산부'로 이름이 바뀌었다. 수산을 해양수산부에, 식품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떼어주면서 농림과 축산을 합친 이름으로 불리게 된 것. 하지만 '농축부'라는 약칭이 어감상 좋지 않아 '농림부'로 불리는 게 자연스럽다는 의견이 많다. 이와 함께 '국토교통부'로 변신한 국토해양부 역시 어감상 '국교부'보다는 '국토부'로 불러야 한다는 견해가 앞선다.
교육인적자원부와 과학기술부가 합쳐진 교육과학기술부의 경우 과학기능이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되면서 '교육부'로 개칭됐다. 일부에서는 인적 자원(Human Resources)을 표출할 수 있는 다른 명칭을 고민해보기도 하지만 딱히 마땅한 이름도 없다.
공무원들은 이같이 각양각색으로 변한 부처명에 대해 우려된다는 입장이다.
정부 부처 고위 관계자는 "주력 업무를 설명하고 특징과 지향점 등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부처명은 통상 두세 글자로 줄이고 부(部)나 처(處) 등을 붙여 부른다. 공직자를 위한 이름이 아니라 국민 입장에서 부르기 쉽게 지어져야 마땅하다"며 "부처 현판부터 각종 서류, 명함 등 모든 서식을 바꿔야 한다는 점에서 예산이 낭비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실제로 6년 전 행정자치부가 전국 166개 동사무소 이름을 주민자치센터로 바꾸면서 100억원의 예산을 썼다. 게다가 171개 교육청을 교육지원청으로 이름을 바꾸는 과정에서 간판 교체 등으로 엄청난 예산을 낭비했다. 새 정부가 출범할 때마다 정부조직을 쪼개고 붙이면서 소모되는 예산이 천문학적 숫자라는 얘기다.
해외 선진국도 이런 불합리함을 이유로 부처명을 쉽게 바꾸지 않고 있다. 미국의 경우 지난 2001년 9·11 테러 이후 국토안보부를 신설한 걸 제외하면 1988년 이후 변한 조직이 없다. 일본도 2001년 초 대폭 개편 이후 12년간 변화가 없다.
한편 네티즌들도 개편된 정부 부처의 이름을 놓고 설왕설래하고 있다. 인터넷 게시판에는“행안부에서도 원래 안전은 중요한 것 아니었나? 말장난도 아니고… 예산낭비인 것 같다", "인쇄업체와 간판제작사만 신났네", "난 일 안행! 애교 부리나", "미창과부? 미창부? 미과부? 다 어감이…", "산통부, 산통 깨는 듯" 등 비판의 글이 이어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