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대북특사 Vs 시기상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4-11 17:0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 각계 대북특사 파견 호소...시기상조 의견도 있어

아주경제 오세중 기자=북한의 도발 위험이 나날이 커져가는 가운데 대북특사 파견 등 남북대화를 재개해야 한다는 각계의 호소가 잇따르고 있다.

정치권과 노동계, 시민사회 등 인사 18명은 11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근혜 대통령은 개성공단을 살리고 전쟁을 막기 위해 즉각적이고 무조건적으로 남북대화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개성공단 근로자를 철수시킨 북측 조치는 유감이며 철회돼야 한다"면서도 "지금은 기싸움으로 시간을 허비할 게 아니라 박 대통령의 결단으로 대북특사를 파견해 먼저 손을 내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대학생 평화만들기'단체도 같은 장소에서 군사행동 중단과 평화협상 개시, 대북특사 파견을 요구하는 대학생 1만명의 평화선언문을 발표했다.

이 단체는 "민족공멸의 참화로 국민의 목숨을 몰아넣겠다는 것이 아니라면 더 늦기 전에 대북특사를 파견해 한반도 평화를 위한 행동에 나서야 한다"며 "아울러 전쟁을 유발하는 모든 행동을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평화포럼은 각계 인사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반도에서 모든 군사적 위협행위를 자제하고 남북대화와 협력을 재개하라" 촉구했다.

하지만 이 같은 대북특사 파견은 시기상조라는 의견도 있다.

앞서 지난 9일 국회 한반도평화포럼 좌담회에 참석한 송민순 참여정부 시절 외교통상부장관이자 전 민주통합당 의원은 "한반도 상황을 단계별로 분석해 대응할 경우 문제의 답이 되지 못할 뿐 아니라 앞으로 계속 북한에 끌려다닐 소지가 있다"며 특사파견에 반대했다.

정부 당국자도 "정부는 기본적으로 언제든지 대화를 하겠다는 입장을 열어놓고 있다"면서도 "북한이 태도를 바꾸고 나올 때 가능한 것이다. 국제사회와 정반대로 가는 방향에서 대화가 의미가 있겠느냐"며 무조건적인 대화에 나서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