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국내 은행 총자산은 2031조3000억원이다. 전년 같은 시기의 1969조보다 62조3000억원 늘었다. 2010년 말과 2009년 말에는 은행 자산이 각각 1840조원과 1799조8000억원이었다.
시중은행 중에는 지난해 말 국민은행이 자산 280조30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우리은행 265조6000억원 △신한은행 254조원 △하나은행 168조1000억원 △외환은행 123조1000억원 △한국씨티은행 69조4000억원 △한국스탠다드차타드(SC)은행 66조4000억원 순이다.
지방은행 중에선 부산은행이 자산 43조20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특수은행은 △농협은행 206조5000억원 △기업은행 205조7000억원 △산업은행 167조1000억원 등이다.
보험사도 자산이 급증했다. 2011년 말 566조1000억원에서 지난해 말 699조6000원으로 늘었다. 생명보험이 442조7000억원에서 547조8000억원으로, 손해보험은 123조4000억원에서 151조8000억원으로 자산이 늘었다.
중소·서민금융사 자산은 지난해 말 568조1000억원이다. 전년 동기 548조8000억원보다 소폭 증가한 것이다.
대출을 의미하는 여신도 급증세다. 지난해 말 국내 은행의 총여신은 1390조여원으로 전년 말 1387조여원에 비해 3조3000여억원이 증가했다.
시중 은행은 이 기간 여신이 9조8000여억원이 줄었지만 지방은행은 8조8000여억원 늘었다. 특수은행 여신도 4조3000억원 늘었다.
시중은행 중 여신이 가장 많은 곳은 국민은행으로 199조여원이다. 우리은행(172조여원), 신한은행(167조여원), 하나은행(118조여원) 등도 여신 100조원을 넘었다.
하지만 부실대출은 줄고 있는 추세다. 지난해 말 부실대출을 의미하는 고정 이하 여신이 전년보다 늘어난 시중은행은 하나은행(478억원), 외환은행(418억원), SC은행(318억원) 뿐이다. 부산은행의 지난해 말 고정이하 여신은 706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