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냉키 의장은 22일(현지시간) 의회 합동경제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현행 통화정책은 경제에 상당한 이익이 되고 있다”며 연준의 양대 정책목표인 완전고용과 물가안정이라는 측면에서 양적완화 정책은 유효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최근 자동차 판매, 주택매매, 가계 소득 등의 경제지표를 통해 경기 회복을 확인했다.
다만 여전히 높은 실업률과 연간 낮은 물가상승률을 양적완화를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버냉키 의장은 “최근 고용시장이 일부 개선 조짐을 보이고 있으나 높은 실업률과 불완전고용은 여전히 문제”라면서 “이로 인해 젊은이들이 기술과 경험을 쌓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지난 3월까지 12개월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준의 물가 목표치의 절반인 1%에 불과했다”고 설명했다.
버냉키 의장은 최근 제기된 양적완화를 중단한다는 주장도 일축했다. 그는 “조기에 긴축 통화정책을 구사한다면 일시적으로 물가가
오를 수 있겠지만 이는 경기회복의 속도를 늦추거나 회복세를 중단시키는 엄청난 위험을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현행 통화정책은 디플레이션 우려를 차단하는 동시에 인플레이션 압력을 제한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경제상황에 따라 채권매입 규모를 줄이거나 늘리는 등 속도 조절에 나서겠다는 방침은 확인했다. 그는 “노동시장 상황이 본격적이고 지속가능한 형태로 개선된다면 채권매입의 속도를 늦출 것”이라면서 “경제지표에 따라 매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