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충남 보령화력본부에서 이 같은 성과를 치하하기 위해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날 준공식에는 윤상직 산업부 장관을 비롯해 보령시장, 김태흠 국회의원, 에기평 원장, 발전사 사장, 한전 CTO, 포스코건설 사장, 대림산업 사장 등 25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에 준공하게 된 온실가스 포집 설비는 한전 전력연구원(사장 조환익) 연구원이 산업부 에너지자원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인 ‘10MW급 연소 후 습식아민 CO2 포집기술개발’ 사업으로 진행 됐다.
특히 이번에 설치된 10MW급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플랜트는 연간 8만톤 정도의 이산화탄소를 포집(CO2 포집효율 90%이상)할 수 있는 규모로 국내에서는 화력발전소에 최초 적용됐다.
윤 장관은 이 자리에서 “이번 온실가스 포집 플랜트의 성공적 개발은 국내 화력발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지구 온난화에 또 하나의 희망을 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향후 석탄화력발전소의 실제 배가스를 이용하여 CO2 흡수제의 포집성능 향상을 꾀하고, 장기연속운전 등을 통해 공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방침이다.
아울러 그간 CCS(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 요소기술 확보 위주로 진행되어 온 R&D 결과를 ‘포집, 압축, 수송, 저장’에 이르는 CCS 전주기 기술의 완성 및 CCS 인프라 구축을 위해 지속적인 투자를 해나갈 계획이다.
한편 윤 장관은 준공식 이후 화력발전의 사회적 수용성 제고와 지속적 발전을 위한 'CCS 역할과 CCS 산업발전'에 대한 관련 기관 간담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CCS 협회 운영위원장(서울대 한종훈 교수)은 '석탄화력발전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CCS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발제를 하고, 이어 관련 업계 CEO들과 의견을 나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