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에 퇴임하는 머빈 킹 뱅크오브잉글랜드(BOE) 총재는 마지막 의회 회동에서 금융시장에 대해 이 같이 평가했다. 또한 킹 총재는 ”연준이 경기가 나아지면 돈을 거둘 것이란 원칙론을 밝혔을 뿐“이라며 시장이 과잉 반응을 나타낸다고 지적했다.
BOE 뿐만 아니라 유럽중앙은행(ECB)·캐나다중앙은행(BOC)도 미국 출구전략으로 요동치는 금융시장을 달래기에 나섰다. 이들 총재는 출구전략을 실행하지 않고 경기부양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단언했다.
마리오 드라기 ECB 총재는 25일(현지시간) 베를린 회동에서 ECB의 출구전략 시행 가능성에 대해 “물가상승률이 낮고 실업률이 높기 때문에 아직 멀었다”며 “통화정책의 변화 가능성을 볼 때 지금과 같은 시기에 국채 매입 프로그램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마크 카니 전 BOC 총재도 ”중앙은행이 어느 시점이 되면 정상적인 통화 기조로 되돌아갈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최근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이사회 의장이 양적완화 축소론을 시사하면서 ECB의 출구전략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그러나 드라기 총재는 버냉키 의장과 달리 경기부양 기조가 필요하고 역내 성장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드라기 총재는 ECB의 국채 매입 프로그램(OMT)이 유로 위기를 진정시키는 데 이바지했으며 여전히 유효하다고 전했다.
드라기 총재의 발언은 유로존 금융시장 안정의 보루 역할을 한 ECB의 국채매입 프로그램에 대해 독일 헌법재판소가 위헌 여부를 심사하는 것을 염두한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ECB와 BOE가 연준처럼 출구전략을 시사하지 않으면 일본은행도 공격적인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모리츠 크래머는 ”연준이 시장을 흔들었으나 심각한 변화를 맞은 것 아니다“고 분석했다. 무엇보다 중앙은행의 소통이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국제통화기금(IMF)의 올리비어 블랑샤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출구 전략은 근본적으로 어려운 것이 아니다“며 ”문제는 소통, 소통이 잘 안 되기 때문에 시장이 동요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연준이 ECB 보다 잠을 이루기 어렵다“란 기고를 내고 연준이 시장 변동성을 크게 우려한다고 꼬집었다. 연준이 게임 체인징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시장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연준은 지난 해 드라기 총재가 발언한 ”유로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뭐든지 하겠다“란 의지와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