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어미 뿔쇠오리 모습> |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 소속 국립공원연구원은 지난 3월부터 6월까지 구굴도에서 22쌍의 번식 둥지를 관찰한 결과 뿔쇠오리의 번식성공률이 53%로 조사됐다고 25일 밝혔다.
국립공원연구원에 따르면 뿔쇠오리의 구체적인 번식생태는 지난 1983년 국내 확인 후 30년 만에 처음이다.
공단 측은 뿔쇠오리의 먹이활동 거리를 조사하기 위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위치가 자동 저장되는 소형 위성 지리 정보 장치 시스템(GPS) 부착했다.
그 결과 번식둥지가 있는 구굴도에서 20∼50㎞까지 이동한 후 24시간 만에 되돌아오는 구제적인 행동반경을 밝혀냈다.
뿐만 아니라 해가 진 후 번식지로 돌아온 뿔쇠오리는 바로 둥지를 찾지 않고 주변 해상에서 3시간 정도 머문 후 둥지 이동이 이뤄진다고 공단 측은 설명했다.
뿔쇠오리는 크기가 24㎝ 정도로 머리 뒤쪽 뿔처럼 긴 머리 깃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국제적 멸종위기종으로 우리나라와 일본의 무인도만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개체 수는 1만 마리 이하로 추정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멸종위기Ⅱ급, 천연기념물 450호로 지정돼 있으며 신안군 구굴도, 독도, 제주도, 다도해해상 백도에서 번식한다.
국립공원연구원은 “지난 2011년부터 신안군 구굴도에서 뿔쇠오리의 자세한 번식생태를 조사하기 위해 번식개체군 크기, 번식성공률, 주요 먹이활동 지역 등 전반적인 번식특성에 대해 조사했다”며 “바다에서만 생활하는 등 알려진 생태가 거의 없어 ‘신비의 새’로 불린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