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은 롱텀 에볼루션(LTE) 가입자 지속 증가와, SK텔레콤 3대 신 성장동력의 한 축인 B2B 솔루션 사업 성장 등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1.3%, 전년동기 대비 3.9% 증가했다.
SK텔레콤 가입자 중 LTE 이용자는 6월말 기준 1102만명으로 전체의 40%를 넘어섰다. 지난 6월26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LTE-A 네트워크 이용자 역시 한 달 만에 30만명에 이르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34.8%, 전년동기 대비 33.2% 증가했다. 비용 중심 가입자 모집 경쟁에서 벗어나 상품과 서비스 중심 경쟁으로 시장 패러다임을 전환하려는 SK텔레콤의 꾸준한 노력에 의해 마케팅 비용이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
실제로 SK텔레콤 별도실적 기준 총 마케팅 비용은 전분기 대비 5.9%, 전년동기 대비 11.2%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시장 안정화에 따른 영업이익 증가와 SK하이닉스 사업 호조로 1969억원의 지분법 평가이익이 발생하는 등 투자회사 실적 개선 영향에 따라 전분기 대비 35.2% 증가했다. SK하이닉스는 2분기 매출 3조9330억원, 영업이익 1조1140억원, 당기순이익 9470억원 등 사상 최대 실적을 실현한 바 있다.
SK텔레콤은 2분기 세계 최초 LTE-A 상용화와 서비스 중심 경쟁 본격화로 ICT 산업 발전을 선도해 왔다. 또한 지난 5월 선언한 ‘고객, 사회와 함께하는 행복 동행’을 실천하며 실질적 고객 혜택 증대와 ICT 생태계 동반성장 토대 마련에도 힘썼다.
그 결과 고객 만족도와 시장과열 정도를 대변하는 지표인 해지율이 2분기 평균 2.27%로 2006년 이후 처음으로 3분기 연속 2.4% 이하를 기록했다. ‘T끼리 요금제’와 ‘전국민 무한 요금제’의 선도적 도입과 ‘착한 기변’, ‘데이터 리필하기’, ‘멤버십 한도 리필하기’ 등 기존 가입자 혜택 강화를 통한 우량고객 유지 및 시장 안정화 전략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착한 기변’의 경우 기변 고객의 70% 이상이 이용하는 등 큰 호응을 얻고 있어 해지율은 향후 지속 축소될 전망이다.
하반기에도 상품·서비스 측면에서의 고객가치 제고와 우량고객 유지 중심 시장 운영을 지속할 예정이어서, 시장 안정화를 통한 이익 개선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SK텔레콤은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SK텔레콤은 LTE-A 서비스 지역을 예정보다 한달 빠른 30일 서울 전역을 비롯한 전국 84개시 중심가로 확대해, 세계에서 가장 앞선 초고속 데이터 이용 환경을 구축했다. 연내 총 3만2000식의 기지국을 구축해 커버리지를 더욱 늘리고, 300여개 대학가에서도 LTE-A를 제공할 계획이다.
두배 빠른 LTE 를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차별화된 서비스와 요금제도 속속 출시 준비 중이다. 최대 커버리지와 최고 수준 서비스로, 하반기 SK텔레콤의 LTE-A 경쟁력은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또한 초고속 LTE-A 서비스의 보편화는 모바일 기반 다양한 융복합 사업 모델 확산을 더욱 가속화시킬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솔루션, 헬스케어, 미디어 등 신규 성장사업의 호조도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SK텔레콤 CFO 황수철 재무관리실장은 “이번 분기 매출과 이익의 증가는 요금 및 서비스 측면에서의 고객 혜택 확대, LTE 기반의 수준 높은 데이터 서비스 제공, 과도하고 소모적인 시장경쟁 탈피 노력 등의 결과”라면서 “앞으로도 세계적으로 앞선 서비스를 제공해 더 많은 고객에게 선택 받고, 건전한 경쟁구도를 형성해 국내 ICT산업이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