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ICT, 인천국제공항 3단계 수하물처리시스템 구축

  • 수하물처리(BHS)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정확도 갖춰<br/>국내 사업 추진 실적을 레퍼런스로 미얀마 공항 사업 따내

인천국제공항의 수하물처리시스템. [사진제공=포스코ICT]

아주경제 최주호 기자=포스코ICT(대표 조봉래)가 인천국제공항의 3단계 수하물처리시스템(BHS, Baggage Handling System) 구축 사업자로 선정되어 터미널 내 42㎞에 이르는 수하물처리시설을 구축한다.

포스코ICT는 지멘스, 포스코플랜텍 등과 컨소시엄을 이뤄 새롭게 건설되는 제2여객터미널을 이용하는 승객의 수하물을 자동으로 분리, 이동시켜 항공기에 탑재하도록 지원하는 수하물처리시스템 구축 사업을 수주했다고 10일 밝혔다.

이에 따라 오는 2017년까지 포스코ICT는 전기와 시운전을 맡고, 지멘스는 관련 설비, 포스코플랜텍은 기계 분야를 담당해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수하물처리시스템은 여객의 위탁수하물에 부착된 바코드를 판독하여 자동으로 최종 목적지까지 분류하는 공항의 혈관과 같은 역할을 하는 핵심 시스템이다.

포스코ICT는 지난 1996년부터 인천국제공항의 수하물처리시스템 구축 1단계 프로젝트에 참여해 2001년 성공적으로 완료함으로써 인천공항의 성공적인 개항에 기여하는 한편 이어 발주된 2단계 사업에 참여해 현재까지 관련 시스템을 운영해오고 있다.

인천국제공항 수하물처리시스템의 정확도는 유럽, 미국의 주요 공항들과 비교해 최고 20배 정도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수하물처리시스템의 정확도는 통상 수하물 10만개 당 항공기 미탑재 수하물 발생건수로 평가하는데, SITA에서 발간한 ‘2013 수하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유럽공항은 평균 21개, 미국공항(국내선)은 평균 8개를 기록한 반면, 인천공항은 0.9개로 0.0009%의 오차율을 기록하여 세계 최고의 정확도를 입증함으로써 국제공항협의회(ACI)가 주관하는 세계 공항서비스평가(ASQ)에서 8년 연속 1위에 선정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경험을 기반으로 포스코ICT는 중·소형 공항에 특화된 수하물처리시스템 개발을 추진해 베트남, 태국, 투르크 등 해외 시장 진출도 진행하고 있다.

실제로 포스코ICT는 지난 8월 인천공항공사를 비롯한 관련 기관들과 컨소시엄을 이뤄 최근 발주된 미얀마 한따와디 신공항에서도 관련 시스템 공급 사업의 우선협상자로 선정되는 성과를 내고 있다.

포스코ICT 관계자는 “전기, 제어 및 IT 분야의 기술을 융합해 수하물처리시스템을 기반으로 공항정보시스템 구축, 항행관제, 항공등화, 공항통신 등 공항 부문 Total Solution 사업자로 성장해 해외 신공항 건설 사업에 관련 기관들과 협력해 적극 참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