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27 재·보궐선거에서 처음 도입된 사전투표제는 선거 당일 개인 사정으로 투표하기 어려운 유권자가 별도의 신고절차 없이 사전투표소가 설치된 곳에 가서 미리 투표를 할 수 있는 제도다.
사실상 투표일이 이틀이 더 늘어나게 됨에 따라 여야는 이해득실 계산에 들어갔다.
사전투표제는 이른바 ‘적극투표층’이 젊은 세대가 주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야권에게 상대적으로 유리하다는 게 통설이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투표일에 사정이 생겼지만 다른 날이라도 꼭 투표를 하겠다는 유권자는 40~50대의 ‘골수 보수’, 혹은 젊은 사람들로 이념·세대적 성향이 극단적으로 갈린다”면서 “사전투표를 하는 유권자는 아무래도 젊은층 많은 편”이라고 말했다.
당시 4·27 재·보선은 역대 재·보선 평균 투표율보다 6.4%포인트 상승했다. 사전투표는 경기 화성갑과 경북 포항 남·울릉 지역 안에 설치된 총 30개의 투표소에서 오전 6시부터 오후 4시까지 가능하며, 반드시 주민등록증과 여권, 운전면허증 등 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
여야는 사전투표를 하루 앞둔 23일 자신의 지지층을 투표장으로 끌어내는 데 주력했다.
새누리당은 선거구 2곳에서 모두 우위를 유지하고 있다는 판단 아래 ‘지역일꾼론’을 앞세운 반면, 민주당은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의혹을 쟁점화하며 ‘정권심판론’을 한껏 부각시켰다.
새누리당 홍문종 사무총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선거 열기가 고조되면서 민주당의 네거티브 공세가 기승을 부리고 있지만 우리는 지역발전을 말하기에도 시간이 부족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맞서 민주당 지도부는 화성갑으로 총출동, 현지에서 고위정책회의를 열고 국가정보원과 국군 사이버사령부의 대선개입 의혹을 맹비난하면서 지역 유권자들의 정권심판을 호소했다.
각 후보 진영의 유세 대결도 눈길을 끌었다.
경기 화성갑에서는 새누리당 서청원 후보의 ‘나홀로’ 선거운동과 민주당 오일용 후보에 대한 당 지도부의 지원사격이 대비를 이뤘다.
서 후보는 오전 남양노인대학 인사를 시작으로 마도면 일대 기업체를 돌며 지지를 호소한 뒤 오후에는 거리 유세를 이어갔다.
오 후보는 당 지도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기반으로 ‘막판 뒤집기’를 시도하고 있다.
무엇보다 사전투표에서 야권 성향의 유권자들이 몰릴 것으로 보고 기아차 화성공장 직원 등 청·장년층을 상대로 투표를 독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