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차 별로 살펴보면, 1년차 미만 직장인의 평균 이직 횟수는 '1.3회'였다. 5년차 미만 직장인의 평균치는 조금 더 높은 '1.6회'로 집계되었다. 5년차 직장인의 경우 '0회' 이직을 했다는 직장인이 29.3%로 가장 많았지만, 이직을 '2회' 경험했다는 직장인이 28.5%로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5년차 이상, 10년차 미만 직장인은 평균 이직 횟수는 '2.5회'로 '3회' 이직을 했다는 응답자가 22.9%로 가장 많았으며, '0회'가 18.4%로 뒤를 이었다. 이어 15년차 미만 직장인은 평균 '4회', 20년차 이상 직장인의 평균 이직 횟수는 '4.5회'로 집계되었다.
이직의 사유는 '연봉'(24.8%)이 1위를 차지했고, '복지'(17.5%), '잦은 야근'(14.9%), '과도한 업무량'(14.1%), '희망퇴직 권고'(13.8%), '인간관계 트러블'(7%), '잦은 회식'(3.6%), '적성에 맞지 않아서'(3.5%)의 순이었다.
이어 이직을 행동에 옮기기 힘든 이유로는 '더 나은 조건을 받을 수 있다고 장담하기 힘들어서'(52.6%)가 가장 컸고, '취업난'(33.3%), '현재 회사의 인력난'(8.6%) 등이 뒤를 이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