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13년 경력단절여성 통계’에 따르면 15~54세의 기혼여성 971만3000명 중 20.1%에 해당하는 195만5000명이 결혼ㆍ임신과 출산ㆍ육아ㆍ초등학생 자녀교육 등의 문제로 직장을 그만둔 경력단절 여성인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책과 경기불황의 영향으로 재취업을 원하는 기혼여성이 늘어나면서 경력단절여성은 전년(197만8000명)과 비교해서는 2만3000명(-1.2%) 감소했다.
경력단절여성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30~39세가 108만1000명(55.3%)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40~49세 53만2000명(27.2%), 15~29세 21만9000명(11.2%), 50~54세 12만3000명(6.3%)의 순이었다.
기혼여성 대비 경력단절여성 비율이 높게 나타난 연령대는 15~29세로 36.9%를 차지한 반면, 50~54세는 6.0%로 낮게 나타났다. 비취업여성 대비 경력단절여성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30~39세(70.1%)였고, 50~54세(16.4%)는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직장을 그만둔 사유는 결혼이 89만8000명(45.9%)으로 가장 많았고 육아(57만1000명, 29.2%), 임신ㆍ출산(41만4000명, 21.2%), 자녀교육(7만2000명, 3.7%)이 그 뒤를 이었다.
육아 문제로 직장을 그만둔 기혼 여성의 비율은 전년대비 7만8000명(15.8%) 증가한 반면, 임신ㆍ출산은 6만5000명(-13.6%), 결혼은 3만명(-3.2%), 자녀교육은 7000명(-8.9%) 줄었다.
경력단절 여성이 과거에 직장을 그만둔 시기는 10~20년 미만이 52만8000명(27.0%)으로 가장 많았고 1년 미만이 18만7000명(9.6%)으로 가장 적었다.
경력 단절 이전 직장에서 근무했던 기간은 1∼3년 미만이 41.6%나 차지했다. 이어 3∼5년 미만 21.5%, 5∼10년 미만 17.0%의 순이었다. 전년과 비교해 10년 이상 경력이 단절된 여성은 늘고, 10년 미만 경력이 단절된 여성은 1∼2% 줄어들었다.
16개 시도별로 경력단절 여성의 수를 살펴보면 경기도가 58만2000명(29.8%)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서울특별시 32만1000명(16.4%), 경상남도 12만6000명(6.4%)의 순으로 나타났다. 울산은 기혼여성 대비 경력단절 여성 비율(30.3%)과 비취업여성 대비 경력단절 여성 비율(57.5%)이 모두 높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