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경상수지, 45억 달러 흑자…24개월 연속 '흑자행진'(상보)

  • 지난해 경상수지 799억 달러…기준 개편으로 92억 달러 늘어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지난달 경상수지가 전월보다 흑자폭을 늘리며 24개월 연속 흑자행진을 지속했다.

이는 새로운 국제기준(BPM6)을 적용한 것으로, 지난해 경상수지는 798억8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3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4년 2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이 기간 경상수지는 45억2000만 달러 흑자를 냈다. 이로써 경상수지는 2012년 3월부터 2년째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달에는 상품수지의 흑자 규모가 확대되고, 서비스수지 적자 폭이 줄어든 것이 경상수지 흑자를 이끌었다.

2월 중 상품수지 흑자규모는 전월의 43억7000만 달러에서 54억3000만 달러로 커졌다.

수출이 전월 506억 달러에서 480억3000만 달러로 다소 줄었다. 그러나 전년동기대비로는 0.8% 감소에서 7.3% 증가로 돌아섰다.

통관기준으로 보면 정보통신기기(23.2%)와 반도체(13.8%), 승용차(7.7%) 등이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늘었다. 동남아(11.3%)와 유럽연합(EU,10.6%), 중국(3.8%) 등에 대한 수출도 1년 전보다 증가했다.

수입도 같은 기간 462억3000만 달러에서 426억 달러로 금액은 줄었지만 전년동기와 견줘서는 1.3% 증가해 전월(-4.0%)보다 소폭 확대됐다.

승용차나 가전제품을 포함한 소비재, 기계류 등 자본재가 1년 전에 비해 각각 9.8%와 13.5% 증가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원유와 철강재 등 원자재는 0.2% 늘어 전년과 비슷했다.

이 기간 서비스수지는 전월 19억1000만 달러에서 2월 중 10억6000만 달러로 적자 폭이 축소됐다.

지식재산권사용료수지가 10억9000만 달러 적자를 내며 전월(-3억5000만 달러)보다 악화됐지만 여행은 같은 기간 8억6000만 달러에서 4억8000만 달러로 적자 폭이 축소됐다. 기타사업서비스수지 역시 11억3000만 달러에서 4억6000만 달러로 적자규모를 줄이며 개선됐다.

운송 및 건설서비스수지는 각각 3억4000만 달러와 11억6000만 달러 흑자를 냈다.

본원소득수지는 배당지급 증가 등으로 전월 12억1000만 달러에서 3억7000만 달러로 흑자규모가 축소됐다.

이전소득수지는 2억2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한편 금융계정은 전월 44억8000만 달러에서 69억2000만 달러로 순유출 규모가 확대됐다.

직접투자는 외국인직접투자가 순유출로 돌아서면서 전월 5억3000만 달러 순유입에서 21억6000만 달러 순유출로 전환했다.

증권투자는 외국인채권투자가 순유출 전환 등에 따라 전월 41억9000만 달러에서 73억9000만 달러로 순유출 규모가 확대됐다.

파생금융상품은 2억2000만 달러 순유입을 기록했고, 기타투자는 금융기관의 차입 증가 등으로 전월 19억4000만 달러에서 47억4000만 달러로 순유입 규모가 커졌다.

준비자산은 23억2000만 달러 증가했다.

한편 이날 한은이 적용한 BPM6는 종전 서비스수지로 분류되던 중계무역 마진을 상품수지로 재분류하고, 직접투자기업의 순영업잉여 가운데 내부유보액을 재투자수익(본원소득수지)과 수익재투자(직접투자)로 반영했다.

기준 개편에 따라 지난해 경상수지는 종전에 발표됐던 통계(707억1000만 달러)보다 91억8000만 달러 증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