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아주경제 DB]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진도 세월호 참사로 전 국민의 애도 물결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새정치민주연합도 극도로 몸 낮추기에 들어가며 사태 수습을 위한 당력을 총집중하고 있다.
새정치연합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는 20일 공식 일정을 잡지 않았다. 세월호 참사에서 드러난 정부의 총체적 무능이 정치권으로 불똥이 튀자 역풍을 우려한 탓이다.
대신 세월호 사고 수습에 당력을 쏟는 한편 대형 재난사고를 근절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돌입했다.
당 ‘여객선 침몰사고 대책위원회’ 위원장인 우원식 최고위원은 이와 관련해 “후진적인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고 책임자 엄벌을 위한 제도 개혁과 안전사회 구현을 위한 예산 편성 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해상운송의 안전규제 강화 법안과 정부의 재난대응 시스템을 재점검하는 법안 등이 마련될 전망이다.
특히 새정치연합은 정부의 무분별한 규제완화 정책이 세월호 참사에 한몫했다고 판단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할 것으로 알려졌다.
조정식 의원은 규제 완화에 대해 “세월호 침몰사고는 지난 2009년 여객선의 선령 제한을 20년으로 완화한 데서 시작됐다”면서 “현 정부가 추진하는 규제 완화에 대한 정밀검토 및 공론화 과정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범정부사고대책수습본부는 이날 오전 10시 공식 브리핑에서 전날(19일) 최초로 선체 내부에서 사망자의 시신을 수습한 이후 이날 오전 8시 2분까지 총 16명의 사망자 시신을 수습했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공식 사망자 수는 49명으로 늘어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