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해양환경관리공단이 발표한 해양쓰레기 발생량 추정연구에 따르면 매년 인공물 쓰레기 9만1195t, 초목류인 재해쓰레기 8만5612t이 발생했다.
인공물쓰레기는 홍수시 바다로 유입되는 생활쓰레기 등 육상쓰레기가 3만2825t, 어선·항만·양식장 등에서 나오는 해상쓰레기가 5만8370t이었다.
또 한해 발생하는 해양쓰레기 중 외해로 흘러가지 않고 분해가 안돼 남아 있는 현존쓰레기의 양은 15만2241t으로 추산됐다.
해양환경관리공단은 육상쓰레기를 포함한 쓰레기 발생량과 현존량 등 국가단위의 해양쓰레기 총량을 추정해 발표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소개했다.
곽인섭 해양환경관리공단 이사장은 "이번 연구는 해양쓰레기가 어디에서 얼마나 발생하고 존재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현상에 맞는 예방과 수거 정책을 수립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실용적인 연구 성과"라고 설명했다.
해당 논문은 SCI(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급 국제 학술지인 해양오염학회지(Marine Pollution Bulletin)에 실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