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은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공무원연금개혁안 의견수렴을 위한 정책 의원총회에서 당내 공무원연금 제도개혁 테스크포스가 마련한 공무원연금 개혁안을 논의하고 있다. 김무성 대표는 이날 오후 5시 당 소속 의원 158명 전원이 서명한 공무원연금 개혁 법안을 국회에 제출, 당론으로 발의했다고 밝혔다. [사진=새누리당 제공]
당초 지도부를 중심으로 개정안을 제출할 방침이었지만 김무성 대표가 대표발의하고 158명 의원 전원이 찬성해 당론으로 발의하면서 개혁 작업은 한층 속도를 낼 전망이다.
김 대표를 비롯해 이완구 원내대표, 이군현 사무총장 등 당 지도부는 이날 오후 5시 국회 의안과에 전원이 찬성한 공무원연금법 개정안을 제출했다.
개정안에는 부인이 공천 헌금을 받은 의혹이 제기돼 탈당한 무소속 유승우 의원도 참여해 총 발의 인원은 159명이다.
김 대표는 전당대회 출마때부터 당론 입법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밝혔지만 "박근혜 정권에서 제일 어려운 개혁 정책이기 때문에 의원들의 요청이 있어 당론 발의를 추진하게 됐다"며 이례적 당론발의 배경을 밝혔다.
이완구 원내대표도 "이 정권에서 못하면 미래 세대에 부담이 된다는 역사적 사명감을 갖고 법안을 제출했다"며 "야당과 내일부터라도 협의를 시작해 연내 통과를 목표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새누리당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어 전날 최고위원회의 보고를 마친 공무원연금개혁 태스크포스(TF)의 연금개혁안을 논의, 이날 중 당론으로 법 개정안을 제출하기로 결정했다.
이날 의총에서 일부 의원들은 공무원들의 복지 확충 등을 전제로 연금개혁을 추진해야 한다는 신중론을 제기했지만 대부분은 큰 틀의 취지에 공감, 찬성으로 결론 지었다.
새누리당은 전날 '하후상박' 원칙 아래 국민연금과 장기적으로 형평성을 맞추고 현재보다 더 내고 덜 받는 식으로 적자폭을 줄이는 공무원 연금 개혁안을 발표했다.
개혁안을 적용하면 1998년 9급으로 임용돼 6급으로 퇴직하는 공무원은 현재보다 17% 많은 기여금을 내고 15% 낮은 연금을 지급 받게 된다. 현재 60세 이상인 연금 지급 연령도 2031년까지 단계적으로 65세 이상으로 늦춰지게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