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은 총재 "일부 국가 금융불안, 아시아 확산 막아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11-03 10:0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한은 제공 ]


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일부 국가의 금융불안이 역내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확산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3일 한은과 국제통화기금(IMF)이 공동으로 개최한 '아시아 금융의 미래' 콘퍼런스 개회사에서 "아시아 국가간의 역내 금융통합의 진전을 위해서는 이같은 과제가 남아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아시아 지역 내 금융·외환시장의 불안정을 확대시킨 요인으로 역외 금융시장에 대한 높은 의존도와 금융부분의 미흡한 발전을 꼽았다.

아시아 경제가 세계 경제의 주요 중심축으로 부상하기까지 역내 국가 간 긴밀한 무역이 큰 역할을 했는데, 금융부분 통합은 저조하다는 설명이다. 아시아 국가의 역내 무역비중은 50%를 넘어서지만 역내 채권투자 비중은 13% 수준이다.

특히 이 총재는 아시아 국가 간 금융통합을 진전시키기 위한 조건으로 일부 국가의 금융불안이 역내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커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미시·거시 건전성 정책 등 금융부문의 복원력을 높이는 정책체계를 마련하고, 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규제체계를 확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양자간·다자간 역내 금융안전망 강화를 강조하면서 "한국이 중국, 인도네시아, 호주 등과 통화 스와프를 체결한 것도 이런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아시아의 역내 금융통합은 성장잠재력 강화뿐만 아니라 경제 복원력을 높이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면서 투자재원을 더 쉽게 조달하고, 국가 간 리스크를 분담할 수 있다는 점을 금융통합의 장점으로 꼽았다.

그러나 이 총재는 금융통합이 불러올 수 있는 잠재 위험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면서 "금융통합의 정도가 높아지면 통화정책 수행이 제약되고 부정적 외부 충격이 더욱 빠르게 전이되는 등 적잖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